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짓현상
가상
가공
허구
공상
d라이브러리
"
주관적현상
"(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최근 두 달 동안 북반구의 겨울철 기온은 기록적으로 높았다. 1997~1998년 엘니뇨 때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고로 올라갔던 것처럼 올해도 엘니뇨와 지구온난화로 가장 더운 한해가 될 것이다.”지난 3월 21일 한국기상학회가 개최한 ‘기상학술심포지엄 2007’에서 기조강연을 맡은 노교수의 입가로 ... ...
왜 우리는 황우석을 믿었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람은 자기가 믿고 있는 신념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 그 신념이 자기 자신과 깊이 관련되어 있을 때 더욱 그렇다. 왜 그럴까. 무엇보다도 사람은 머릿속, 마음 속에서 ‘일관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기가 원래 가지고 있던 생각과 일치하는 정보가 들어오면 기꺼이 그 정보를 받아들이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재판은 한편의 드라마다. 피고와 고소인이 있고 진실과 거짓 사이에서 양심은 끊임없이 동요한다. 거짓은 또다른 거짓을 낳고 진실은 은폐되기 십상이다.클라시커 시리즈 ‘재판’ 의 저자 마리 자겐슈나이더는 ‘과연 정의가 이기게 될까’란 질문을 독자들에게 던진다. 그는 역사가 수많은 재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마음은 곧 개인의 정체성을 뜻한다. 사람에 따라 모두 다르지만 개인에게 있어 결코 변하지 않는 존재인 셈이다. 현대사회에서 마음이 다양한 상태로 표현되는 것은 비정상적인 병리적 행동이었다. ‘정신적 해리’ 와 유사한 상태, 즉 ‘다중인격’ (multiple personality)은 이런 마음의 일탈행위를 의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대부분의 악기들은 금속이나 나무, 가죽 등을 재료로 제작된다. 그런데 돌로 만들어진 악기가 있다. 한국사 시간에 세종대왕의 업적 중 하나로 다룬 ‘편경’ (編磬)이 그것이다. 여러분들은 실제로 편경을 보거나 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돌로 만든 편경은 맑고 단순한 소리를 내지만 그 이면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코끼리는 동작이 매우 느리고 쥐는 행동이 잽싸다. 이들이 바라보는 인간 사회, 예컨대 모든 게 분주하게 돌아가는 뉴욕 같은 대도시는 어떻게 다를까?코끼리가 보기에 인간은 아침에 번개같이 일어나서 쏜살같이 출근해 바람같이 일하다가 총알같이 퇴근한다. 이번에는 쥐의 입장이 된다. 동작 ... ...
2 사랑에 빠진 뇌, 우정을 느낀 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왜 나는 어떤 사람이 미치도록 좋을까?’ ‘왜 나는 분노를 삭이지 못할까?’ ‘왜 나는 갑자기 까닭도 없이 슬퍼질까?’이 질문에 대한 똑부러지는 대답은 아직까지 없다. 인간 감정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거의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무언가를 느끼는 행위는 학습이나 기억, 추리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경기도 일산에 사는 주부 P씨(38)는 20여 페이지에 달하는 유전자 검사 보고서를 읽고서는 눈앞이 아득해옴을 느꼈다. 1주일 전 P씨는 막내딸의 건강과 적성을 알기 위해 사설 유전자 검사업체에 의뢰해 딸아이의 유전자를 검사했다. 장남인 오빠와는 달리 막내딸은 또래에 비해 체구가 작을 뿐 아니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심리학자들은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연구할까. 궁예처럼 관심법을 동원하는 것일까. 심리학의 발전 역사를 통해 마음의 비밀이 어떻게 풀려나가고 있는지 살펴보자.사람들은 마음에 관심이 많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마음을 잘 조절하는 일이 매우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현재에도 정복해야 할 질병, 암. 1926년 노벨생리∙의학상은 기생충이 암의 원인이라고밝힌 업적에 돌아갔다. 지금 보면 당연히 잘못된 수상이자 최악의 수상. 반면 1901년 노벨생리∙의학상이 수여된 베링의 디프테리아 치료법은 최초이자 최고로 평가받을 수 있다. 서양 근대의학의 수준을 한단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