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즉석"(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빵 만드는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빵을 만들어요. 이후 6분마다 새로운 빵이 나오고 하루에 235개의 빵을 만들지요. 한편, 즉석에서 케이크에 그림을 그리는 로봇도 있어요. 한국 로봇자동화 기업 티브로틱스와 미디어 콘텐츠 기업 디스트릭트홀딩스가 함께 문을 연 카페에는 ‘디저트봇’이 있어요. 디저트봇은 소프트웨어에 미리 ... ...
- [미국유학일기] 미국에서도 가장 사악한 물가 음료비를 줄이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가계부를 작성한 주는 장을 따로 보지 않고 남은 식재료와 한국에서 가져와 쌓아둔 즉석식품, 라면 등으로 해결해 식재료 지출은 없었다. 그리고 보통은 일주일에 한두 번 약속이 있어 학교 밖에서 밥을 먹는데, 특이하게도 이 주에는 약속이 없어 돈을 아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주말에 선배 ...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동아리가 생긴지 1년이 지난 2016년에는 창의력을 보기 위해 동아리원이 직접 만든 문제를 즉석에서 풀게 했고, 이듬해에는 자신을 글로 써보라고 했다. 올해는 재판 상황을 알려주고 판사가 되어 판정을 내려 보라고 주문했다. 동아리 활동을 해보니 인성이 바르고 열심히 하는 사람이 필요한데, 그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KIST) 광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의류일체형 웨어러블을 발표했다. 내 손에 맞게 즉석 조립, DIY 웨어러블5월 초, 홍 교수를 먼저 찾아갔다. 4층에 있는 실험실에 들어서자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윤재영 박사과정 연구원이 먼저 맞이했다. 책상에는 일명 ‘DIY(Do It Yourself) 웨어러블’의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퍼즐 조각 뒤에는 바로 이 질문들이 적혀 있었지요. 문경수 과학탐험가와 조남석 소장은 즉석에서 퍼즐 조각을 뽑아 뒤에 적힌 질문에 대답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옛날에는 한반도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박세아(오정초 5) 친구의 질문에 조남석 소장이 대답해 ...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인공지능 스피커와 접목되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기분을 파악하고, 그 기분에 맞춰 즉석에서 노래를 만들어 들려주는 일이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 스피커가 사용자의 목소리를 분석하고, 작곡한 노래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힌 노래를 만들 수도 있다. 음치, 박치 걱정 없이 누구나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때우기 위해 선택한 인스턴트 식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즉석 카레, 참치 통조림, 즉석밥 등 메뉴 선택의 폭도 좁았다. 변화의 시작은 2010년. 한국 식품에 적합한 포장기술이 개발되면서부터 였다. 1인 가구의 증가, 맞춤형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등이 포장기술의 발전을 견인했다. ... ...
- [과학뉴스] 패션도 내게 맡겨! 움직이는 액세서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남기면서 그림을 그릴 수도 있어요. 시간이 흐르면 자국은 사라지기 때문에 일회용 즉석 패션이 된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키노는 통화 기능이 있어서 전화가 오면 목 근처로 움직여요. 또 로봇에 장착된 온도 센서가 온도 변화를 탐지해 스카프를 목에 둘러 주거나 머리에 두른 모자를 벗겨 주기도 ...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즉석밥 유통기한 유난히 긴 이유?날씨가 더우면 냉장고에 넣어놓은 밥도 상하는데 즉석밥은 상온에 둬도 6개월 이상 멀쩡합니다. ‘방부제가 든 게 아니냐’는 의심도 있지만 다 무균포장 기술 덕분입니다. 무균포장은 ‘식품과학기술대사전’에 따르면, 무균적으로 지은 쌀밥을 무균냉각 뒤 ... ...
- 풋볼 팬타지움 수학여행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골키퍼를 제외한 10명의 선수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얼마인지 등의 질문이 쏟아졌다.즉석에서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에도 학생들은 재빨리 답을 구해냈다. 체험물을 즐길 때만 해도 “축구는 재밌는데 수학은 어렵다”고 했던 서울문현초등학교 장현우 군도 마찬가지였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