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류"(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나무가 준보석인 마노(미정질 석영)로 변했다. 그린 강 퇴적지층은 콜로라도 강의 주요 지류인 그린 강이 흐르는 유타, 와이오밍, 콜로라도 주의 산간 분지 지역이다. 이 넓은 퇴적층은 약 5000만 년 전 신생대 에오세에 다양한 퇴적물이 산간 호수에 쌓이면서 형성됐다. 특히 건기와 우기에 따라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양 쪽의 판이 상호 이동하면서 매년 일정한 응력이 쌓인다. 샌안드레아스 단층의 한 지류인 파크필드 지역에서는 1857년부터 1966년까지 6차례 동안 규모 6의 지진이 일정하게, 약 18년 주기로 발생해왔다. 과학자들은 1993년에 규모 6의 지진을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2004년에 발생했다. 이 지연 발생에 ... ...
-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본류 등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남쪽의 높은 산맥(서태평양산맥)으로부터 형성된 지류가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1억 년 뒤 한반도는?초대륙 ‘아마시아’가 형성되면 한반도는 어떻게 될까. 호주와 뉴질랜드, 동남아 군도가 모두 한반도 쪽으로 이동한다. 특히 호주 대륙은 일본열도 쪽으로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수 있는 곳에 모여 살았다. 기원전 11세기부터 존재했던 주나라의 수도 시안은 황허 강의 지류에 있으며, 그보다 앞선 은나라의 유적은 작은 하천의 상류지역에 있다.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평야 지역에서는 거의 대부분 벼농사를 짓는다. 그렇다고 평야가 적은 지역에서 농사를 짓지 못하는 것은 ...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좀과 바퀴벌레 등이 내놓는 배설물은 다시 한지를 산성으로 만든다. 따라서 한지로 만든 지류 문화재는 종류를 불문하고 곰팡이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복원의 첫 번째 원칙이다.털 것인가, 빨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복원의 시작은 역시 꼼꼼한 불순물 제거(클리닝) 작업이다. 곰팡이 같은 ...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하수도로 바뀌었다. 이런 최상류천을 다시 하천으로 복원해 물이 흐르게 하면, 그 물이 지류를 거쳐 본류로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본류의 수량도 늘고 수질도 좋아진다는 것이 이 제안의 핵심이다.이는 2007년 2월 ‘미국수자원학회지’가 특집으로 다룬 주제이기도 한데, 이후 생태학계에서 강을 ...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차를 타고 5번 국도를 따라 20분쯤 올라가면 화천읍 쪽에서 내려오는 북한강 본류와 지류가 합쳐지는 한적한 마을이 나온다. 행정지명으로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라고 불리는 이곳은 낚시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명소 중 하나다. 북한강 일대에 댐이 건설되면서 수몰되기 전에는 이곳은 작은 ...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어디 가는 거야? 거긴 내 방이 아니라 종이나 옷감으로 된 유물을 보존 처리하는 ‘지류실’과 ‘직물실’인데…. 흑흑, 혹시 나보다 그 종이가 먼저 보고 싶은 건 아니겠지? 하긴, 그 종이는 이순신 장군의 유물이니 보고 싶은 것도 이해는 가지만….이 곳은 금속이나 돌로 만들어진 ‘무기물’ ...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이뤄 가이드와 함께 섬의 북동부 해안에 있는 우에하라 항에서 출발해 우라우치 강의 지류인 나카라 강을 따라 카누를 타고 섬 내륙으로 들어간 뒤, 섬 중앙의 피나이사라 폭포 일대를 트레킹하고, 다시 카누를 타고 우에하라 항으로 돌아오는 일정이다. 이리오모테 섬은 면적이 289k㎡로 오키나와 ...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뚫지 못했다고 한다.한지의 기능에 세계가 주목하다 원래 한지의 종류는 원료인 닥피 지류에 따라, 방법에 따라, 용도에 따라, 크기와 두께에 따라, 생산지에 따라 각지, 창지, 삼첩지, 시전지, 황국지, 초록지 등 100가지가 넘는 명칭으로 분류돼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한지산업이 기울면서 대부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