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부시는 기초과학이 응용과학 발전의 주요 요인이라 주장합니다. 기초과학의 산물인 과학 지식을 응용과학이 활용하고, 응용과학의 산물인 기술은 다시 기초과학의 수단이 되므로 국가가 과학 연구에 투자하면 선형적으로 계속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미국은 페니실린,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용해 소수의 간격을 줄이기로 한 것이다. 바로 폴리매스 8번 문제다. 여러 명의 지식이 더해지자 연구에 가속도가 붙었다. 장 교수의 논문이 발표되고 3달 만에 소수의 간격이 7000만에서 4680까지 줄어드는 성과가 났다. 짧은 기간 동안 모든 걸 불태운 탓인지 이후 3개월 동안 진척이 없었다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이다. 이때 관여하는 관절을 파악하고 여기에 적합한 명령을 내려야 한다. 컴퓨터공학 지식이 필요한 지점이다.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보자. 전신제어를 하기에 앞서 현재 몸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팔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팔짱을 끼고 있는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있는가? 이 위치를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합의에도 불구하고 왜 일부 과학자들이나 정치인들이 여전히 DDT의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아직 불확실한 것처럼 그려내는지, 이를 통해 이들이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는 일일 것이다. *필자소개 현재환.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 과학사 연구자로, 한국이라는 틀에 갇히지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 계산이 필요했거든요. 최근에는 앱 자체에 AI를 도입하려고 했는데, 이때도 수학 지식이 큰 도움이 됐어요. 수학을 이용해서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고, 사용자들이 굿노트를 즐겁게 이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이 큰 보람을 줘요. 굿노트에 숨어 있는 수학! Q. 학생들이 수학을 공부할 때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기존 지식을 정정하는 등의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리고 공부하며 차근차근 쌓아 둔 지식이 왜몬과의 싸움에서 길라잡이가 돼준다. 그것이 연구다. “웹툰 보고 대학원에 가기로 정했다” 대학원 탈출일지는 유독 고학력자 독자들이 많았다. 석박사학위를 딴 이들은 본인의 대학원 생활을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잘 오셨습니다. 여러분 중 누군가는 10년 뒤, 후배 나노의학 연구자로 다시 만날 수 있겠죠.” 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은 추위를 ... (연구원으로) 다시 오기 위해 열심히 공부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나노의학에 대한 지식과 함께 꿈이 자라는 시간이었다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관심이 있어 관련 강의를 열심히 들었던 것이 도움이 됐습니다.” “고작 대학교 때 배운 지식으로,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커를 잡아냈다?” “아, 그건” 내가 대답을 머뭇대자 국장이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으며 말을 가로챘다. “자넨 어쩌다가 요원이 됐나?”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여전히 ...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교수가 학생들을 시켜 인쇄 기계로 무작위한 문자열을 찍어 내 그 결과를 모아 과학 지식의 목록을 작성한다. 이후 이런 생각은 프랑스 수학자 에밀 보렐에 의해 원숭이가 무한히 오랜 시간 동안 아무렇게나 타자기를 두드린 결과, 완벽한 책을 완성했다는 이야기로 바뀐다. 그 당시 프랑스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예측하는 방식인 수치예보모델은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기상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또 방정식을 계산하려면 수백억 원에 달하는 슈퍼컴퓨터가 필요했죠. 국립기상과학원 인공지능기상연구과 이혜숙 과장은 “과거부터 방대한 기상 자료가 잘 쌓여 있기 때문에, AI 기술력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