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합"(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상이문] 5화 사랑에 빠지는 순간 ‘허니와 클로버’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해. 휴면 상태에서 깨려면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저온을 견뎌야 하는데, 이 저온의 총합을 냉각량이라고 부르지. 겨울잠에서 깨도 바로 꽃을 피울 수 있는 게 아냐. 이번에는 일정한 고온을 일정 시간 이상 느껴야 해. 이 고온의 합을 ‘가온량’이라고 해. 가온량과 냉각량은 꽃마다 조금씩 ... ...
- 마스크 5부제 실시, 치솟는 마스크 가격 규제 못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얻게 되겠죠? 이렇게 소비자가 구매하려고 했던 가격에서 시장 균형가격을 뺀 금액의 총합을 경제학에서는 ‘소비자 잉여’라고 합니다. 한편 마스크 공급함수를 살펴보면 시장에서 공급자들이 생산을 시작하는 최소한의 마스크 가격은 100원입니다. 마스크 판매를 위해 생각해둔 최소한의 가격이 ... ...
- [아이돌수학] 숙소 방 배정은 수학으로 해결! '레드벨벳'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각 꼭짓점은 서로 다른 월세의 조합을 나타낸다. 또한 모든 꼭짓점에서 월세의 총합은 50만 원으로 같으며 각 점에서의 분배는 56쪽 설명에 따른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결정한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짓점마다 월세가 어떻게 나뉘는지 알았다면 이제 삼각형의 각 꼭짓점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손 안 대고 종이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반 대고 크기는 같은 두 힘을 더하면 합이 0이 돼요. 즉, 종이 가 위아래로 받는 힘의 총합이 0이 되어 종이는 위아래로 움직이지 않지요. 이런 상태를 ‘힘의 평형’이라고 해요. 몸 앞에 종이를 대고 달릴 때 중력에 대항해 종이를 평형 상 태로 만드는 힘은 마찰력이에요. ‘마찰력’은 어떤 면과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고리가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셈이다. 관측 결과 토성의 주요 고리인 A, B, C 고리의 질량 총합은 위성 ‘미마스’의 0.41배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고리가 작은 위성들의 궤도와 주고받는 영향, 초기에 순수한 얼음 상태에서 외부 물질이 섞여 들어간 비율 등을 토대로 토성 고리의 나이를 다시 ...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우주망원경이 9년간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감마선의 양을 알아냈다. 그 결과 광자의 총합은 약 4×1084개로, 동양에서 가장 큰 숫자단위인 무량대수(1068)보다도 약 4경 배 많았다. 연구팀은 약 100억 년 전에 별 생성량이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현재 우리 은하에서만 매년 약 7개의 새로운 별이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메이플 유니온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자기가 키운 여러 캐릭터들의 레벨 총합이 일정 수준에 오르면 캐릭터를 모두 모아 특정 미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즉 메이플 유니온을 하려면 다양한 직업을 가진 캐릭터로 플레이해야 하고, 각 캐릭터를 일정 레벨까지만 올리면 되니까 지루할 틈이 없지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다.아래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를 정리했다. 에너지가 전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의 총합은 항상 보존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1. 원자력 발전 우라늄과 같이 무거운 원자의 핵분열을 이용해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우라늄(U)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많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쇠공의 움직임으로 뉴턴의 법칙을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작용하게 돼요(작용-반작용의 법칙). 또한 쇠공 1의 운동량은 충돌 후 쇠공 2의 운동량의 총합과 같답니다(운동량 보존의 법칙). 쇠공의 움직임을 관찰해 뉴턴의 운동 법칙을 배워요!스미스소니언 ‘뉴턴의 크래들’은 받침대와 쇠공이 매달려 있는 기둥으로 이뤄져 있어요. 받침대 양쪽에 나 있는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자가 +1이고 어느 전자가 –1인지 알지 못한 채, 두 전자를 멀리 떨어뜨리자. 스핀의 총합은 여전히 0이다. 그리고는 전자 A의 스핀을 측정한다. +1이 나왔다면 전자 B의 스핀은 –1이어야 한다. 여기에는 양자역학적으로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양자역학에서 측정은 특별하다. 측정하기 전에 우리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