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요
잔물결
진동
wave
물결
파도
d라이브러리
"
파동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이를 통해 빛이 전자기파의 한 종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답니다. 보통 소리와 같은
파동
은 공기나 물, 금속 등의 ‘매질’을 통해서 전달돼요. 따라서 19세기 말까지 과학자들은 빛도 매질이 있을 거라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1887년 미국 물리학자 앨버트 마이컬슨과 에드워드 몰리는 실험을 통해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동아시아 지역으로 저기압성 순환과 고기압성 순환이 번갈아 발생하며 대기에
파동
이 생긴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 지역에 저기압성 순환이 강화되고 남쪽에서 많은 양의 수증기가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인공지능(AI) 딥러닝 기반 날씨 예측 서비스는 7~8월에 ... ...
[논문탐독]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지평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부각됩니다. 양자역학적인 효과의 지배를 받는 미시 상태에서는 입자가 곧
파동
이고,
파동
이 곧 입자입니다. 또한 한 입자가 동시에 여러 상태의 중첩으로 존재할 수도 있죠. 미시 상태의 입자를 시뮬레이션하려면 이 각각의 상태가 얼마나 중첩됐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야 합니다. 이때 상태의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직선적, 입자적이어서 단절되고 메마른 느낌의 과학이었다. 반면 20세기는 곡선
파동
의 우아함을 뽐내며 과학과 과학자들이 상호작용한 시대였다. 그중에서도 상대성이론은 휘어진 시공간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과학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 세 권의 책은 현대과학과 과학자들이 ... ...
[특집] 광메타물질로 홀로그램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선 그 중 빛의 세기와
파동
의 시간에 따른 위치 상태인 위상,
파동
의 진동 방향인 편광 등을 동시에 섬세하게 조절해야 하죠. 이 때문에 기존의 물질만으로는 홀로그램을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었어요. 연구팀은 이중 메타 구조를 떠올렸습니다. 빛의 여러 속성을 한 번에 ... ...
[특집] 열적 메타물질로 불꽃 슈트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복사란 멀리서 온 태양열이 우리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처럼, 중간 전달 물질 없이도
파동
을 통해 온도를 데워주는 걸 말해요. 태양에서 오는 적외선을 살펴보면 일정한 회전을 하며 지구에 도달해요. 하지만 지구에서 발생한 적외선은 대부분 회전성을 띠지 않으며 일관성이 없었죠. 연구팀은 ... ...
[특집] 음향 메타물질로 UFO의 트랙터 빔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메타표면에 음파를 쏘아 원하는 방향으로
파동
을 산란시킨 거죠. 이때 발생하는
파동
에너지로 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그젠 교수는 “이 기술은 로봇 수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에는 마치 SF 영화처럼 우주에서 물체를 움직이는 트랙터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처음 발견한 후, 다른 물리학자들이 여러 차례 실험으로 그 현상을 확인했지만 빛의
파동
론으로는 설명이 힘들었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빛을 입자로 가정하는 광양자 개념을 도입해 광전효과를 제대로 설명했다. 아인슈타인의 광양자는 1900년 막스 플랑크가 제안한 양자 개념을 최초로 응용한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개발했다. BLASTPol은 일종의 편광카메라다. 관측 대상으로부터 반사돼 나오는 빛의
파동
이 특정 방향으로 더 우세하게 진동하는 정도(편광)를 측정하면 물체 표면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별이 탄생하는 성운의 특성을 분석하면 성운을 구성하는 분자의 종류를 검출해낼 수 있다.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이용해 전자기파를 코사인과 사인 곡선으로 분리할 수 있는 거지요. 물리학에서는
파동
방정식, 슈뢰딩거 방정식 등 다양한 방정식이 쓰이는데요. 이 방정식을 못 풀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많아요. 방정식은 결국 세상에 있는 많은 문제를 풀기 위해 나타난 거니까요. 그런데 허수는 방정식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