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이어니어"(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과학동아 l2000년 04호
- 보이저 2호의 비행시간과 비교해보면 비행시간이 무척 많이 단축됐음을 알 수 있다.파이어니어와 보이저 탐사선은 화성 밖의 외행성에 대한 수많은 자료를 우리에게 보내주고, 인간의 손길을 태양계 끝에까지 전해주었다. 21세기에는 명왕성을 비롯한 태양계 내의 모든 행성을 탐사하고 그보다 먼 ...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과학동아 l1999년 08호
- 1961년 4월 12일 오전 9시 7분 보스토크(러시아어로 ‘동쪽’이라는 뜻) 1호가 서서히 우주를 향해 솟아올랐다. 얼마 후 그 안에 탑승한 유리 가가린(1934-1968)은 인간으로는 처음으로 우주에서 지구를 내려다 볼 수 있었다.“지구표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칠흑같이 어두운 하늘이 수평선에서 아주 선명하 ... ...
- IBM왓슨 연구소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말을 좌우명으로 삼았다. 결국 이 말은 오늘날 IBM의 좌우명이 됐으며, 그 정신을 실현할 파이어니어들이 모인 곳이 바로 왓슨과학컴퓨팅연구소였다. 왓슨과학컴퓨팅연구소는 1961년 웨스트체스터카운티로 옮기면서 토머스 존 왓슨연구센터로 이름을 바꿨다.1944년 5월 하버드대학 교수인 하워드 ...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소행성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를 카이퍼벨트라고 부른다.또한 이 무렵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 보이저 1호와 2호가 태양계 바깥으로 나가게 됐고, 알려지지 않은 중력섭동의 원인 물체를 찾는 긴 역사의 마침표를 찍었다. 나사는 우주선에 미치는 중력효과를 토대로 행성들의 질량을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년 04호
- 68cm임을 알린다.아래에는 파이어니어 10호의 행로를 표현했다. 왼쪽 끝의 원은 태양으로, 파이어니어가 지구를 출발해 목성과 토성 사이를 빠져나왔음을 표시했다. 행성 상하에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표시돼 있는데, 수성까지는 1010(10진법으로 10), 지구까지는 11010(10진법 26)이다 ...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외대로 구별되는 천체는 지구뿐이다.현재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는?1972년에 쏘아올린 파이어니어 10호가 26년째 운항되고 있다. 이 탐사선 프로젝트는 내가 직접 개입한 프로젝트다. 현 위치는 지구로부터 1.04×1010km 가량으로 아직도 자료를 보내고 있다. 그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내가 하고 있는 ...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과학동아 l1998년 10호
- 파이어니어와 보이저에서 쌓은 기술은 갈릴레오와 카시니 발사의 토대가 됐다. 또 파이어니어와 보이저에 담긴 지구인의 메시지는 언젠가 외계인에게 전달될 것이다.인간이 가장 먼저 가보고 싶은 행성은 화성이었다. NASA는 1964년과 1969년에 마리너 4호,6호,7호를 화성에 접근시켰다. 1971년 발사된 ... ...
- 인조인간 로봇과학동아 l1998년 10호
- 훨씬 수명이 긴 로봇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류가 태양계 바깥으로 내보낸 파이어니어나 보이저 탐사선들도 모두 무인 로봇이다. 그들은 아득한 미래에 머나먼 외계에서 우리의 외교사절 역할을 담당할 것이 틀림없다.사람을 닮은 인공지능체흔히 로봇이라고 하면 기계장치로 이루어진 ...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있다.목성과 토성이 처음으로 자태를 드러낸 것은 1972년 파이어니어 10호와 1973년 파이어니어 11호에 의해서였다. 또 1976년 화성에 착륙한 바이킹 탐사선이 찍은 화성 표면의 모습은 세계를 놀라게 했고, 이는 7년 전 인간이 달에 착륙했던 사건만큼이나 NASA에 활기를 불어 넣었다.80년대 들어 발사된 ... ...
- 파이어니어 10호는 살아있다과학동아 l1998년 09호
- 떨어진 먼 우주 공간에서 파이어니어는 아직도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황소자리 알데바란을 목표로 항해 중이다. 아마 그곳까지 가는 데에는 2백만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