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판그림"(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번 호에는 종이를 잘라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전개도 퍼즐’을 소개하겠습니다.정육면체를 만드는 건 쉬워도 그 방법을 찾는 건 어려우니 열심히 도전하세요! ※ 편집자 주KPP(한국 퍼즐 파티)는 ‘퍼즐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저희들의 퍼즐 이야기를 통해 신기한 퍼즐과 그속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웅하! 팬클럽이 생긴(엣헴!) 우웅이, 닥터 소가 왔소. 반갑소. 여러분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재미있는 과학 영상들을 긁어모아 왔소! 재미있게 보고 함께 어과동 홈페이지에서 수다를 떨면 좋겠소! ▶제트 엔진으로 청소기를 만들면? 조회수 : 156만 회청소기 안에는 모터와 프로 ... ...
- 가장 과학적인 게 가장 예술적이다, 미술작품 속 숨겨진 빛의 과학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명화 속 물리학 흔히 과학적 논리와 예술적 감각은 별개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음미체’를 못하는 수많은 ‘이과생’들의 변명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정작 근대 화가들은 원하는 바를 더 확실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학적 원리를 이용했다. 빛을 이용해 사물을 강조한 렘브란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같이 보드게임 만↗들↘래↗?” 짝꿍이 농담처럼 던진 한마디에, 겁 없이 “그래!”라고 답해 버렸어요. 지금까지 보드게임을 할 줄만 알았지, 직접 만드는 건 태어나 처음이었어요. 하지만 평소 ‘수학’을 좋아한 덕분에 성공적으로 도전을 마칠 수 있었답니다. 1단계. 보드게임 즐기며 형식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구는 살아 숨 쉬는 행성입니다. 지각과 대기 등 지구의 모든 구성 성분은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이때 생긴 에너지가 쌓여 때때로 화산이나 지진 등을 일으킵니다. 흔히 지구의 지질 활동을 설명할 때 거론되는 판구조론은 독자 여러분도 한번쯤 들어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빛과 공간을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킨 예술가가 있습니다. 미국의 설치미술가 제임스 터렐입니다. 터렐의 작품은 '관람'보다는 '탐험'이라는 말이 더 어울릴 것만 같습니다. 무슨 의미인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저와 함께 터렐의 작품을 탐험배 보시죠. 터렐의 작품은 그저 판에 박힌 단어만으 ...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전세계인의 꿈과 상상력을 자극하며 어린이에게는 독창적인 상상력을, 어른에게는 동심을 불러일으키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전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여러분, 그림을 생동감 넘치는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내기 위해 꼭 필요한 게 ‘수학’이라는 사실 알고 있으신가요? 수학이 어떻게 애니메이션 ...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따끈따끈한 피자 조각, 깊은 바닷속 산호초, 여러 종류의 나뭇잎…. 이들의 공통점은 뭘까요? 바로 쌍곡기하학의 예시라는 점입니다. 단순한 평면으로 나타낸 유클리드 기하학 대신 피자 도우 같은 얇은 면이 구부러지면서 나타내는 신기한 쌍곡기하학의 세계를 만나봅시다. 우리 주변에서 가장 ...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매일 밤, 섭섭박사님 집에선 이상한 일이 일어나요. 섭섭박사님이 램프의 전원을 켜면 신비한 그림이 램프 위에서 반짝반짝 빛을 내지요. 섭섭박사님이 메이커의 경지를 넘어 마법사가 되기라도 하신 걸까요? 함께 신비한 마법 램프를 만들어 봐요!알아보자! 140만 년의 역사를 순식간에 바꾼 전구?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중생대 백악기, 아주 작은 크기의 공룡이 호숫가 주변의 촉촉하게 젖은 땅 위를 걷고 있었다. 공룡은 젖어 있는 땅 중에서도 ‘적당하게 굳은’ 진흙 위를 걸어가며 발자국을 남겼다. 발자국의 크기는 불과 1cm밖에 되지 않았다. 엄지손톱 크기 정도다. 대부분의 육식 공룡은 두 발로 걷고, 뒷발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