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개
보자기
표지
d라이브러리
"
포장지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과정에서도 재생 가능한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콩기름과 같은 천연자원을 활용한
포장지
를 개발하는 등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인 생산공정을 갖추기 위해 노력했다”며 “이 과정에서 쌓인 노하우로 ‘탄소배출 관리 컨설팅’이라는 새로운 영역도 개척했다”고 말했다.지난해 대통령직속 2050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먹을 수 있는 게 HMR이라지만,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일종의
포장지
속의 셰프인 셈입니다.HMR에는 이외에도 많은 기술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기술들은 HMR 이외의 다양한 제품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령 인구가 섭취하기 편하도록 부드러운 식품을 ... ...
[기획] 2021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병원에 갈까 우려할 때 음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5개 국가를 돌며
포장지
에 붙은 채 버려진 껌을 분석해 각기 다른 종의 세균이 번식한다는 걸 알아낸 스페인 발렌시아대 연구팀은 생태학상을 수상했다. 진화, 보행, 탐욕… 인간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다 이번 이그노벨상에는 ... ...
[그림으로 보는 수학] 꼭꼭 숨어 있는 알쏭달쏭 규칙을 찾아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우리집 벽지나 보도블록,
포장지
등을 보면 도형이나 그림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요. 바로 ‘규칙’이 숨어 있는 거예요. 다양한 사례에 꼭꼭 숨은 규칙을 찾아봐요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홀로그램을 음식에 직접 새기는 연구를 진행해 왔어요. 원산지나 성분 표기를
포장지
대신 음식에 직접 기록하면 불필요한 포장을 줄이고 정보를 위조하지 못하게 할 수 있거든요. 그간 나노 입자로 만든 홀로그램이나 초콜릿에 홀로그램을 만든 연구가 있었지만, 몸에 해로운 물질이 생기거나 ... ...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소장 중인 작품 ‘시장’에서 그의 깨진 짐가방 중 하나를 볼 수 있다. 냅킨, LP판
포장지
에 그린 아이디어많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백남준 작가도 전자공학을 공부했다. 1961년 불현듯 전자공학에 빠져 다른 책은 모두 창고에 넣고 TV에 관한 책만 독파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백남준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다’는 의약품을 먹어야 합니다. 설사라는 특정 증상을 개선해야 하니까요.일반식품
포장지
에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표시할 수 없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구체적인 질병의 명칭을 언급하면서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면 소비자들이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으로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 / 이승현(tmdgus)
포장지
에서 막 뜯은 단단한 껌을 입에 넣고 씹으면 금세 말랑해져 질겅질겅 씹곤 해요. 그러다 찬물을 마시면 다시 딱딱해지지요. 이는 껌이 유리와 같은 ‘비결정성 고체’이기 때문이에요. 고체는 구성 입자의 ... ...
[만화뉴스] ‘돈’도 2주간 격리당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남겨요. 그다음 자동 포장 과정을 거치지요. 이때 지폐는 150℃ 고열에 2~3초 노출되고,
포장지
내부 온도는 42℃에 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생존력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또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한 지역에는 신권이나 살균 처리가 된 지폐를 공급하기로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음식이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금방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음식을 담고 있는
포장지
정보는 없다. 비교적 안전해 음식 포장에 많이 쓰는 페트(PET)도 열에 노출되면 중금속인 안티몬을 배출한다. 이외에도 각종 유해물질 첨가제가 들어간 플라스틱이 얼마나 안전한지는 미지수다. 저자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