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린터"(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 울림을 줄여서 소리를 좀 더 또렷이 들을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의 스피커를 3D 프린터로 만들어보는 수업이 대표적입니다. 기하학의 구체적인 의미와 기술적 용도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킨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큰 수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물리 과목에선 레일건(자기장이 변하는 곳에 있는 ... ...
- [과학뉴스] 머리카락보다 얇게 유리 인쇄할 3D 프린팅 재료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활용될 수 있는 유망기술이다. 그런데 유리는 녹는 온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3D 프린터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플라스틱은 대부분 200~300캜에서 녹는 반면, 석영 유리를 녹이기 위해서는 온도를 1100캜까지 올려야 한다. 이 점은 유리 3D 프린팅을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데 큰 제약이 됐다. 고온의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보였다. 면적이 1000m2에 달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나노공정실, 로봇 적층제조실, 3차원(3D) 프린터실, 메이커아지트 제작실 등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강의실에서 얻은 지식과 아이디어를 직접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꿈의 공간’이었다.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2021년 처음 신입생을 모집한 ...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넣어주면 삼겹살과 아주 비슷하지만 완전히 똑같지는 않은 고기가 인쇄돼 나온다. 3D 프린터로 만든 고기는 익히지 않고 그냥 먹어도 되지만, 대원들은 구워야 한다며 용접용구를 가져다 소란을 떨었다. 선내 발화를 감지한 기지 시스템이 경고음을 요란하게 울려 대고 나서야 대원들의 흥분이 조금 ... ...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르다는 걸 느끼실 겁니다. 과학동아는 계속 남다른 재미를 추구할 계획입니다. 3D 푸드 프린터로 인쇄한 음식을 직접 먹어보고(30p),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었다는 해외 괴짜 과학자를 직접 인터뷰하고(92p), 기사 속 연구현장에 독자와 함께 찾아가는(137p) 이야기를 부디 잘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기름맛을 선물하지만, 몸속에 들어가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교수는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먹음직스럽지만, 포화지방은 없는 베이컨을 만들 수도 있다”며 “이처럼 필요한 재료로 원하는 음식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한다면, 음식의 기존 패러다임이 전복될 수 있고 우리가 ...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뒤 땅밑으로 침투해 발아를 준비한다. 연구팀은 이 씨앗을 조직학적으로 분석한 뒤 3D 프린터와 전기방사기술을 이용해 씨앗 모양을 복제했다. 전기방사기술은 전기력을 이용해 고분자를 수백 nm(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길이로 늘이는 섬유 생산 방법이다. 연구팀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 ...
- [특집] 기계적 메타물질로 캡틴의 방패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런 성질을 이용해 압력이나 충격도 흡수하거나 흘려보낼 수 있죠.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맥스웰 격자’라는 구조를 만들었어요. 구조의 형태를 변화시켜 가장자리와 중간 부분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메타 구조를 맥스웰 격자라고 합니다. 연구팀이 만든 격자는 삼각형 두 개가 ... ...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현재의 일에서 더 큰 즐거움과 보람을 느낀다. 특히 식용곤충 자동화 시스템, 푸드 3D프린터, 인공육 배양 기술 등 식물공장 외에도 가장 핫한 과학 기술을 참신한 시각으로 풀어내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한국에선 농업을 전통적인 1차 산업으로 보는 시선이 여전히 강하다. 이에 식물공장 ... ...
- [Space Math] 우주시대 앞당기는 기술 적층제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것이 아니라, 소수의 프린터 로봇만 보내고 그 로봇들이 기지를 만드는 아이디어다. 프린터 로봇들이 현지 자원을 이용해서 자기와 똑같거나 유사한 로봇들을 마치 세균 번식하듯이 복제한 다음 그 로봇의 숫자가 어느 정도 되면 기지를 짓는다. 우리나라 스타트업인 ‘무인탐사연구소 UEL’은 이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