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소리
대성
호언장담
장담
d라이브러리
"
호언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과학동아’에 그 소식을 전했다. 탐사를 실패했느니,당초 성공하지도 못할 일을
호언
장담하다 그렇게 됐다느니 말들도 많았다. 점차 관심 밖으로 멀어지는 듯했지만 결코 의연함을 잃지 않았다.남미 대륙의 끝 티에라 델 푸에고섬을 거쳐 태평양이 맞닿은 칠레에 도착한 5월. 그는 또 한 번 ... ...
PART2 2007 대선은 과학전쟁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건설하고 과학기술투자를 앞으로 5년 안에 GDP대비 5%까지 늘리겠다고
호언
하고 있다.그러나 대선 후보들의 과학기술공약이 화려한 겉모습에 걸맞는 내실을 갖췄는지는 의문이다. 무엇보다 연구개발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린다거나 거대 프로젝트를 제시하기보다 정책의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 ...
미래 개인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세그웨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유발하는 기존 차들을 몰아내고 획기적인 도심 이동 수단으로 인기를 누릴 것이라고
호언
장담했다.이를 반영하듯 개발후 불과 지난 2년 동안 세그웨이는 인터넷 이후 가장 주목할 만한 발명품의 대열에 오르게 됐다. 올 상반기 국내에 상륙하는 세그웨이를 해부해본다.균형을 유지하는 신체기관과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내에 인간프로테옴의 단백질 간의 지도를 규명하겠다고 장담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호언
장담에 주식은 오히려 폭락했다고 한다.이 외에도 미국의 IBM, 일본의 Hitachi와 NEC와 같은 전기전자 회사가 단백질의 구조연구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장차 BT와 IT의 결합을 위한 연구가 전망되기 ... ...
인터넷 기업군단 거느린 소프트 뱅크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아침조회를 했다. 연설을 들은 종업원 중 1명은 기가 질려 며칠후 회사를 그만뒀다.그의
호언
장담은 현실로 나타났다. 때맞춰 일본에서 전자오락 열풍과 PC붐이 일어났고 잇따라 창간한 컴퓨터잡지들도 히트를 쳤다. 80년대말에는 연매출 5백억엔을 넘어섰고 그는 일본PC소프트웨어협회를 만들어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학생은 죄수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이 치러질 수 없음을 증명한다. 그러나 결국은 교수가
호언
한 대로 시험이 치러졌다. 이런 논리로 판사의 판결은 옳았음이 입증됐다. 즉 위의 (1)과 (2)는 동시에 만족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⑤ 거짓말쟁이 패러독스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패러독스중 하나. 거짓말쟁이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2백만달러 정도의 비용과 전문가팀이 갖춰지면 18개월 내에 복제아기를 만들 수 있다고
호언
장담했다. 나이 차 많은 쌍둥이일 뿐시드 박사가 계획한 복제방법은 돌리의 경우와 유사하다. 부모 중 한명의 체세포로부터 유전자를 분리한 후 이를 다른 여성으로부터 얻은 난자에 이식한다. 이 난자는 ... ...
1. 인간을 이긴 컴퓨터가 전하는 메시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2월에 벌어진 경기는 3승2무1패로 카스파로프가 승리했다. 당시 카스파로프는 애초의
호언
장담과 달리 1차전에서 불의의 기습패를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러나 그는 특정 수에 대한 컴퓨터의 반응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나머지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딥 블루 이전에도 컴퓨터와 체스경기를 둬본 ... ...
지진징후 5가지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풀리지 않은 행성의 비밀을 탐지하고 심지어 이들 천체를 여행할 날이 곧 올것이라고
호언
한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특히 지구 내부의 물리학과 지진예지를 성공시키기에는 아직 요원하다고 본다. 이는 지진이 지하 수십㎞에서 수백㎞(7백㎞)의 인간이 볼수 없는 물리조건(고온 고압 지질 ... ...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있었다. 북한에 대한 UN제재안이 토의되는 동안 북한 측은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호언
하고 한국 정부도 이에 맞서 강력한 태도를 보였다. 이 긴장 구조는 카터의 입북으로 하루 아침에 평화의 무대로 돌아서게 됐다. 그야말로 수학에서 말하는 카타스트로피적 전환이었다.종전 수학 통합하는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