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황동"(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학- 구리가 금되는 요술세계과학동아 l1994년 08호
- 구리를 불에 넣고 구워 주면 아연과 구리가 용융돼 합금, 즉 황동을 형성하게 됩니다. 황동은 60-82%의 구리와 18-40%의 아연의 합금으로 번쩍이는 금색을 띄며 아연이 포함된 정도에 따라 금빛을 띄는 정도가 달라집니다.자, 이제 아셨죠? 우리가 구리를 금으로 바꾸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실제로 이 금은 ... ...
- 화학- 연료, '일과 열'로 에너지 변환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녹게 만들어준다(그림 1).이 밖에도 점토로부터 그릇을 만들고, 구리와 아연으로부터 황동을 만들고, 소금으로부터 수산화나트륨을 얻어내기 위해서 각각 연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물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역학적인 일을 하기 위해서도 연료가 사용된다. 잔디를 깎기 위해 모터를 ... ...
- 재활용 기술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사장인 밥 모하드는 러시아의 폭탄과 탄환들의 포장물에서만 약 50만t의 알루미늄 철 황동이 재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일부 재활용에는 높은 비용이 들지만 (내생으로) 얻어지는 자원들을 팔아서 수지를 맞출 수가 있다.러시아에서 앞으로 어떠한 일이 벌어질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과학동아 l1990년 10호
- 한 예로 황산을 유산(酼酸)으로 쓰는 일본식 표기를 그대로 받아적는가 하면 청동을 황동으로 쓰거나 주석을 석으로만 표기하기도 한다. 이는 모두 전문적인 과학서적번역가가 없고, 있다해도 영세한 출판사 사정으로는 충분한 보수를 주지 못해 생겨나는 문제점들이다.전문저술가의 부족과 ... ...
- 청동기와 거푸집과학동아 l1990년 01호
- 만들기가 쉽지 않음을 은연중에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전 국토에서 28개가 발견돼이 황동이 놋(鍮)으로 잘못 알려진 때가 있었다. 통일신라 때부터 그릇의 소재가 된 이래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인의 전통적 식기로 오랫 동안 사랑을 받아온 놋그릇은 구리와 주석을 75 대(対) 25 ... ...
- 청동기 기술과학동아 l1989년 12호
- 세계에서 가장 질이 좋은 동합금(銅合金)들을 소개한 셈인데, 페르시아의 황금빛 나는 황동과 신라에서 만든 아연-청동이 최고라는 것이다. 이는 저자인 이시진의 평가이다. 그래서 이 글의 첫머리에 '이시진이 말하기를'이라고 자신의 견해를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그리고 1488년(성종 19년)에 ... ...
- 껌처럼 늘어나는 금속의 마술사 슈퍼플라스틱 금속과학동아 l1989년 11호
- 보통의 황동이 원래 길이보다 1.3∼1.5배 정도까지 늘어나는 데 비해 2배까지 늘어나는 황동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된 것이다. 그러나 벵고호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또 기술적으로 어떤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인지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이런 '이상스런 현상'이 다시 한번 세인의 관심의 ... ...
- 해시계과학동아 l1989년 07호
- 대리석에 신법지평일구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실제로 사용된 서양식 해시계였다. 또 황동으로 만든 휴대용 지령일구(16.8cm×12.4cm)가 남아있는데, 서양식 해시계가 조선에 장착하였음을 말해준다.1881년 강윤이 만든 해시계도 서양식 해시계의 조선판이다. 얼른 봐도 서양 해시계가 조선식으로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