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효과적임"(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알맹이도 껍데기도 버릴 게 없다! 달걀 껍데기 분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요즘 요리에 푹 빠진 섭섭박사님이 달걀을 사용한 음식을 잔뜩 만들었어요. 요리를 마친 후 주방을 정리하려는데, 주변에 널브러진 달걀 껍데기가 보였죠. 이를 보고선 섭섭박사님 머릿속에 실험 아이디어가 떠올랐나 봐요. 달걀 껍데기로 무얼 만들 수 있죠? 왜 이런 일이? ➔ 결과 : 달걀 껍데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끙, 끙…. 아이고, 힘들어!”여유로운 한낮,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선선해진 날씨를 즐기며 산책을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어디선가 끙끙 앓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주변을 둘러보니 저 멀리서 누군가 수레로 짐을 잔뜩 옮기는 모습이 보였지요.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빠지는 머리카락을 막아 ... ...
- [가상 인터뷰] 앙! 무는 파리, 파란색에 끌리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웨엥~, 파리들이 파란색 음식점으로 이동하고 있어. 잠깐! 거기는 음식점이 아니라 덫인데?! 파리는 왜 파란색에 끌리는 거지 …?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웨에엥~! 나는 ‘무는 파리’야. 죽은 동물이나 음식물을 먹는 다른 파리와는 달리, 살아있는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빨아먹고 기생하기 ... ...
- [가상인터뷰]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해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냐옹! 어둑한 밤, 짝짓기를 하는 고양이의 울음 소리를 들어본 적 있어? 최근 길고양이 개체수가 많아 이를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이를 위한 안전한 방법이 개발됐다는데? 일리가 취재했어. Q. 자기소개 부탁해.A. 나는 길고양이야. 전 세계 고양이 6억 마리 중 80%가 나처럼 길에서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혹1. 우두법 전에도 천연두 예방법이 있었다?천연두는 천연두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근절을 선언하기 전까지, 천연두는 치사율 약 30%에 전염성도 매우 높은 위험한 병이었다. 특히 회복된 이후에도 65~85%의 사람들이 피부가 수포로 덮이는 후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몇 해 전 ‘유전자 다이어트’라는 걸 해봤습니다. 세상에 그런 다이어트도 있느냐고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잠깐 설명하자면, 개인의 유전체를 분석해서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체중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다이어트입니다. 우리 몸이 기계라면 유전체는 기계가 어떻게 작동할지 결정하는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주 쓰레기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린 1957년부터 지구 궤도를 도는 위성이 1만 1330개에 달하는 2023년까지, 우주 쓰레기에 대한 우려는 꾸준히 있었다. 중요한 건 해결책이다. 우주 쓰레기를 가급적 만들지 않고, 만들어진 쓰레기는 지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것은 시각 디자인의 정수. 디자인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라면 한 번쯤 과제로 만나게 되는 연습문제. 세계 곳곳의 대도시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공공 디자인. 바로 지하철 노선도다. 서울 지하철 노선도가 40년 만에 새롭게 탈바꿈했다. 동그란 모양의 2호선과 서울 가운데를 흘러 ... ...
- [가상 인터뷰] 전기차 폐배터리서 금속만 쏙쏙 뽑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금은 전기차 전성시대! 전기차가 많이 활용되는 만큼 수명이 다한 배터리가 늘고 있어. 그래서 과학자들은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 최근, 우리나라 연구진이 용기 하나로 폐배터리에서 희귀 금속을 뽑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해. 일리가 취재했어. 자기소개 부탁해. 안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많은 이들의 예상이 맞았다.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커리코 커털린 독일 바이오엔테크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두 과학자의 연구 덕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mRNA(메신저RNA) 백신 개발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특히 커리코 부사장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