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ul"(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Leland H. Hartwell) 박사, 영국 왕립암연구재단의 티모시 헌트(Timothy Hunt) 박사와 폴 너스(Paul M. Nurse) 박사 등 3명을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세포가 성장해 분열하는 과정을 통제하는 핵심 ‘조절인자’를 발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의 .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0년 11호
- 고텐보르그 대학의 아르비드 카를손(Arvid Carlsson), 미국 록펠러 대학의 폴 그린가드(Paul Greengard) 그리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에릭 캔델(Eric Kandel) 등 3명이 노벨 생리ㆍ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신경세포들 사이의 ‘느린 시냅스 전달’에 의한 뇌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구체화하고 실제로 그러한 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대표적인 인물은 독일의 에를리히(Paul Erlich, 1854-1915)이다. 에를리히는 인간의 세포에는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인체에 침입한 세균만을 죽이는 특효약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는 6백번이 넘는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마침내 1910년 매독 ... ...
- ② 정보통신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볼 수 있다는 기사도 있다.기타 북한 관련 웹사이트로 통일원이 만든 웹사이트와 폴 바커(Paul Bakker)씨의 북한 방문 웹사이트, 미국 산호세 머큐리지 기자의 북한 방문 웹사이트 등이 북한 정보를 제공한다.북한의 정보화는 경제사정의 악화와 심각한 식량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드웨어 부문은 ... ...
- 물질세계의 사회심리학자 노만규 박사과학동아 l1998년 04호
- 노박사는 회고했다. 그 공로로 노박사는 1985년 프랑스 물리학회로부터 폴 랑쥬뱅(Paul Lang-vin)상을 수상했다.노만규 박사가 국제적인 기초과학 연구의 메카로 발돋움하고 있는 한국고등과학원(원장 김정욱)에 머무는 동안 서울대 물리학과의 민동필 교수(52세), 스페인 발렌시아대의 벤토 교수(48세), ... ...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막스 폰 라우에(Max von Laue, 1879-1960) 발터 프리드리히 (Walther Friedrich, 1883-1968) 파울 크니핑(Paul Knipping, 1883-1935)이 이 문제를 해명할 결정적인 실험인 결정격자에 대한 X선 회절실험에 성공함으로써 X선은 '아주 짧은 파장을 지닌 전자기파'라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즉 그 ...
- 자 웃읍시다, 여러분!과학동아 l1994년 04호
- that changes the physiology of the brain so that you feel happier ? Now we know what that smile is, say psychologists Paul E㎞an,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and Richard Da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지질학 교수 앙트완 고셰(Antoine Ghaouche, 33), 영국 대사관의 주재상무관 폴 카와자(Paul Khawaja, 33)가 그의 일행이었다.이 네사람은 동굴 탐사에서 동굴이 숨겨놓은 과거에 얽힌 증거들을 찾으려 했다. 그들로서는 자신들의 과업은 곧 레바논의 미래에 대한 신념과 직결돼 있었다.현실에서 격리된 이 ... ...
- 헬리콥터과학동아 l1993년 12호
- 헬기의 실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20세기 초반의 일이었다. 1907년 11월 프랑스의 코뉴(Paul Cornu)는 2개의 프로펠러를 부착한 동체를 지면으로부터 6ft 수직 상승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코뉴의 장치는 단지 수직 상승 및 강하만이 가능한 기초적인 것이 었으며, 기체의 수평비행은 1912년 덴마크의 ...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이 부위가 특정 언어장애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프랑스 학자 브로카(Paul Broca)의 이름을 따서 브로카 부위라고 하며 이 부분의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을 브로카실어증이라고도 한다. 전위실어증, 즉 브로카실어증의 특징은 말의 산출이 어렵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말은 잘 이해하지만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