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치
d라이브러리
"
search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기보 16만 개를 달달 외웠으니 이길 수밖에 없겠다고? 바둑은 기보를 외운다고 할 수 있는 게임이 아니라니깐! 그럼 기억력 좋은 사람이 무조건 바둑에서 이기게? 내 진짜 실력은 기보에 나온 고수들의 방법을 스스로 공부하고 이길 수 있는 수를 열심히 계산한 데서 나와. 그게 바로 ‘딥러닝’이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망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 스로 구축한 것이다. 퍼슨 파인더에 찾고자 하는 이 름을 ‘
search
000(이름)’ 식으로 입력하면 구글이 찾 는 사람의 정보를 수집해 요청한 사람에게 보낸다. 이 번 네팔 지진과 관련해서도 6000명이 넘는 사람들의 정보가 수집된 상태다. A라는 사람의 안전이 한번 확 인되면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매 실험마다 조금씩 배우면서 답을 찾아나갔다는 뜻이다. 지금도 그는 “‘리서치(re
search
)’는 ‘다시 찾는다(re-
search
)’는 말이라고 믿고 실험의 무한반복을 즐긴다”고 밝혔다. 매일매일 새로운 질문을 하고 답을 찾는 게 행복하고, 그 자체가 연구에 대한 가장 큰 보상이라고 한다. 그레이더 교수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가정이 바탕이지. 여러 대 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한 전 세계적인 생명체 탐사 계획 ‘SETI(
Search
for Extra Terrestrial Intelligence)’가 그거야. 재미있는 건 전 세계의 가정이나 직장의 컴퓨터 수백만 대를 연계해 신호를 분석한다는 거야.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내려 받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지 뭐야!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핑거프린트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때문에 이른바 ‘인접 이웃 검색(Nearest Neighbor
Search
)’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가장 근접한 결과가 나온다.스크린샷에 맞는 동영상 바로 재생한다이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스크린샷이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면 자동으로 해당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of the star, a bit of light shines through the atmosphere. By analyzing that starlight, Berta and his colleagues could
search
for evidence of water. 해석 작은 해왕성이 많은 것을 암시해준다 천문학자들이 몇 년 전 기묘한 세계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Cosmology Project)’와, 1990년경부터 브라이언 슈밋과 애덤 리스가 함께 주도한 ‘High Z SN
Search
Team’이다. 이들은 최초로 우주의 가속팽창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지금까지 우주론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경우는 두번이었다. 첫 번째는 1978년 우주배경복사의 등방성을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미국 세티 연구소의 세스 쇼스타크 박사는 그의 책 ‘우주생명 이야기(Cosmic Company-The
Search
for Life in the Universe)’에서 “와우 신호가 SF와 인터넷 채팅의 주제가 되고 말았다”고 지적한다.혹시 외계인들이 지구를 향해 드리우던 전파를 마침 지구인이 재차 관측을 시작할 때 걷어간 건 아닐까. ...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Microsoft says. Google denies this claim. Hal Varian, the company’s chief economist, has pointed out that most
search
engines look at only a small sample of their user data in oder to improve ...
구글, MSN 서치에 선두 빼앗길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만 하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의 저명한 검색 엔진 마케팅 사이트인 ‘서치엔진워치’(
Search
EngineWatch)의 크리스 셔먼은 “구글이 최고라는 생각은 이제 개념적인 것에 가깝다”고 말했다.지금까지 구글의 ‘비밀병기’는 고도의 링크 분석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MS를 포함해 모든 검색 엔진들이 링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