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경로"(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같은 항덕들에게 정말 좋은앱, Flightradar24기사 l20230930
- 지원하는 비행기까지 나와요! AIRPORTS에는 그 공항정보, LIVE FLIGHTS는 지금 운항하고있는 비행기, RECENT OR SCHEDULED FLIGHTS 는 말그대로 그경로를 지원하는 항공기를 말합니다! 이중 하나를 누르면 일정이 나오죠! LIVE FLIGHTS에서 지금 운항하고있는 아시아나항공 OZ6013편 기종 에어버스A350-9 ...
- 소닉을 알아보자! (소닉 더 해지옥 캐릭터 소개 1)기사 l20230924
- 된체 안치 되게 됩니다. 자기가 원하는 카오스 에메랄드에 올라가면 겟 스피어 어 블루 미니게임을 또해서 얻으면 됩니다. 획득 경로는(마스터 에메랄드 아래쪽->중앙에서 가장 가까운 윈쪽->중앙에서 가장 가까운 오른쪽->중앙에서 가장 가까운 오른쪽 깨고 오른쪽 대각선 위->오른쪽 맨 끝->왼쪽 맨 끝->거기서 대각선으로 오른쪽위)순이 가장 쉽습니다 ...
-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 방법기사 l20230905
- 의사인 존 토러스가 생각한 방법입니다. 물을 마시기 불편한 자세로 물을 마시는 과정을 통해서 딸꾹질에 관여하는 미주신경의 진행경로가 입천장, 식도를 지나기 때문에 평범하게 물을 혀, 식도 방향으로 마시는 것보다 미주신경을 더 크게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찬물을 마시면 효과가 더 좋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귓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물을 ...
- 과천과학관에서 들려주는 탄소이야기기사 l20230813
- 5년부터 가스 생산이 중지될 동해가스전의 가스가 모여 있었던 층에 탄소를 집어넣어서 저장할 계획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층은 누출 경로가 없으므로 안전하게 탄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 탄소는 에너지와도 관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전기를 만드는 수단은 석탄, 가스,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석탄과 가스는 전 ...
- [챌린지] 노벨상 후보에 오른 한국의 파스퇴르, 이호왕 박사님기사 l20230731
- 만큼 피해가 심각했다고 합니다. 당시 미국에서는 1952년에서 1967년까지 15년동안 유행성출혈열을 연구했지만 유행성출혈열의 감염경로를 알지 못했습니다. 이호왕 박사님은 미국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유행성 출혈열을 연구하게 되는데요. 이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원들과 함께 쥐들을 잡으러 다녔습니다. 하지만 들쥐를 잡는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
- 예삐네 - 230716 - 2탐사기록 l20230716
- 마을 경로당 입구 처마 아래에 제비는 안보이고 둥지만 있었어요. ...
- 강화 빅버드레이스 (Big Brid Race)에 다녀 와서기사 l20230505
- 좋을것 같습니다. 강연 중 가장 인상에 남았던 내용은 뒷부리 도요의 애기였습니다. 아래 보이는 사진은 뒷부리 도요의 이동경로입니다. (출처:https://www.newss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115) 뉴질랜드에서 우리나라까지 1만200km를 7일만에 날아옵니다. 쉬지도 않고 먹지도 않고 말입니 ...
- [챌린지] 시드볼트에 대해 알아보자!(11/8)기사 l20230424
- 등급으로 경비인력이 상시배치됩니다. 2019년 국가보안시설로 지정된 시트볼트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에도 잡히지 않습니다. 이동경로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는 테슬라 차량은 진입이 금지돼어 있습니다. 보안을 위해 1년에 4번, 분기별로 한 번씩만 종자를 입고할 정도로 경계도 삼엄합니다. 4. 어떤 환경에서 얼마나 많은 종자를 보관하나요? ...
- [챌린지] EAAFP를 아시나요? (7/8)기사 l20230414
- 1개의 다국적 기업부문 파트너로 총 39개의 파트너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래 보이는 그림이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이며 우리나라도 여기에 속해 있습니다. (출처:https://foundation.eaaflyway.net/) 철새라 불리는 이동성 물새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이동성 물새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번식기와 비번식 ...
- 양자역학의 시작기사 l20230408
- 실험'이란? 이중슬릿과 비슷하지만 진회된 실험입니다. 슬릿(틈(구멍))이 용수철로 연결되 있어 움직이게 하여 입자가 위로 가는 경로를 알 수 있게 되고 거기에서 생기는 간섭무늬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은 보어의 상보성원리에 위배됩니다. 하지만 이중슬릿이 정지해 있다면 위치의 불확정성과 운동량의 불확정성은 0이 되는데 이는 불확정성의 원리에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