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계통"(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열차 TOP12(그 누구도 이길수 없다!)기사 l20180807
- 않좋은데 전기 줄이는 고속철도군요. 앞에 있는 글씨는 무엇을 뜻할까요? 저는 앞에 하, 가운데에 있는 계입니다. 5위 대한민국!의 미계통 해무 우리나라에서ktx보다 더 빠른 열차가 있다면 바로 해무! 해무는 시속 430km에 세계 5위를 자랑하는 열차입니다. 나중에는 더 빠른 열차가 만들어진답니다. 4위 Shanghai Maglev 중국 ...
- 로고 만들어 드립니다~!포스팅 l20170703
- 로고 신청 받겠습니닫!로고엔영어로 제목과 부제목(부제목은 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그리고 색깔 계통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선착 아닙니다~! ...
- 로고 만들어 드리는거 다음주 부터다시 시작하려고요.포스팅 l20170628
- 로고 신청 다음주 부터 받겠습니닫!로고엔영어로 제목과 부제목(부제목은 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그리고 색깔 계통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 ...
- 2012년 발표된 중국논문을 바탕에 우리나라 살모사류 자료를 얻어 분석해보았습니다.탐사기록 l20170409
- 2012년 발표된 논문에 실린 자료를 NCBI에서 찾은 후 2013년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분석하여 NCBI에 올려놓은 자료를 합쳐.. 계통수를 그려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우리나라 까치살모사는 중국과는 다른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점쳐지네요..^^ 여러분들도... 야외 탐사에....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들도 시도해보심 재미있을 듯 합니 ...
- 우리나라 까치살모사의 학명에 대해 자료를 모으면서.....탐사기록 l20170409
- Gloydius saxalis 에서 Gloydius intermedius로 전세계 파충류 데이터 베이스에서 바꾸어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NCBI에서 관련 자료를 모아 계통수를 그려보았답니다..^^ 중국학자들의 연구가 정말 뜨거움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사탐에 오는 우리나라 미래의 과학자 여러분.. 야외 탐사에서... 단지 ...
- 개고기, 없어져야 할 전통입니다기사 l20170304
- 전통이여서 '전통' 이라는 단어의 뜻은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과거로부터 이어 내려오는 바람직한 사상이나 관습, 행동 따위가 계통을 이루어 현재까지 전해진 것' 입니다. 개를 잡아먹는 행동이 과연 바람직한 사상이나 관습, 행동이 될 수 있을까요? 옛날, 개를 잡아먹었던 이유는 개 말고는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고기가 풍족하지 못했기 때문입 ...
- 종류가 아주 많은 '색깔', 그 의미는 무엇일까? 빨간색, 노란색... , 색깔별 가지고 있는 의미는 무엇일까요?기사 l20160403
- 우울하고 의기소침할 때는 빨간색을 가까이하는 게 좋아요.실제로 심리치료를 할 때도 우울증이나 소심증이 있는 사람에게빨간색 계통인 장미색, 적갈색, 분홍색 등을 권한다고 하네요.다음으로 주황색이에요.주황색은 정신과 기운을 북돋아 주고,명랑한 느낌이 들도록 돕는다고 해요.활동성과 용기를 북돋아주기 때문에현실 도피적인 성향을 지닌 사람들에게 도움이 ...
- 서울대학교 곤충 계통 분류연구실에 다녀왔습니다. 제 블로그(Hello Microworld)탐사기록 l20160206
- 서울대학교 곤충 계통 분류연구실에 다녀왔습니다. 제 블로그(Hello Microworld)이웃이신 이승현 선생님의 초대로 다녀왔는데요, 표본보관실에 있는 수많은 곤충표본을 보고 놀랐습니다. 이곳에서는 곤충들을 일일이 분류하고 DNA를 추출하여 생태와 발생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
- [국립수목원 취재기] 알수록 더 알고싶은 식물과 곤충의 세계 국립수목원을 다녀와서기사 l20140518
- 되어 있는데, 전세계 생물학자들이 이 이름을 공유하여 연구할 수 있는 길잡이 이름이 된다. 또 그 식물이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 그 계통을 알 수 있는 정보가 들어 있다. 그러고보니, 학명은 식물의 이름표이자 식물 지도 안의 이정표인 것 같다. 먼저 식물채집을 하였는데 그때는 모종삽과 전정가위를 사용해서 채집하였다. 모종삽은 우리가 집에서 사용 ...
- 우리는 너희와 달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228
- 지구상의 생명체가 긴 세월을 거치는 동안 진화해 온 모습을 다시 한 번 반복하면서 태어나는 것이라고 이야기하지요. 이런 것을계통발생이라고 해요. 태어날 때 모습은 모두 다르지만 이렇게 생명체가 생기는 순간이 모두 같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지요. 작은 물고기조차 시작하는 순간에는 사람과 똑같은 소중한 생명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그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