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어린이과학동아
"
서식지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로 모이 새 ~~~~
기사
l
20240326
골격과 깃털입니다. 새의 눈은 망원경과 돋보기를 다 갖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탐사력 문제를 풀다보니 부리는 먹이와
서식지
와 관련이 있다는 문제를 풀어서 답을 맞추었네요. 도요새를 보면 부리가 깁니다. 갯뻘이 있는 곳에서 본적이 있습니다. 따오기도 부리가 깁니다. 구멍에서 나오는 벌레를 잘 잡아먹게 생겼습니다. 새의 발을 보아도 어디 ...
넓적이를찾아서 - 240324 - 2
탐사기록
l
20240324
딱새로 추정되는 새가 나뭇가지에 앉아 있었습니다.흰눈썹황금새 수컷으로도 생각됩니다.근처에 새
서식지
가 있습니다. ...
주디의쑥인절미 - 240323 - 2
탐사기록
l
20240323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이곳은 민물가마우지 섬이 존재하고 주변나무가 새똥으로 하얗게 덮여있음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마지막 영상이 경기도 서호공원 민물가마우지의 집단
서식지
...
여수 오동도, 순천 순천만습지 탐조여행
기사
l
20240313
하고 새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 즐거웠고 새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저도 내년에 만날 겨울 철새들을 위해 생태
서식지
보호와 환경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서원식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새 TMI 4편- 겨울가객 두루미
기사
l
20240303
흑두루미는 어두운 검은색이기 때문에 어두운 자작나무숲 혹은 순천만 습지에서 많이 관찰이 됩니다. 또한 온도에 대한 민감성으로
서식지
가 구분이 됩니다. 두루미는 철원이남으로 더 이상 내려갈수 없습니다. 그와 반대로 흑두루미의 경우는 다른 종보다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좀 더 따뜻한 순천만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1. 두루미 두루미는 멸종위기 ...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프리카 편
기사
l
20240225
봅니다. 하지만 마다카스카르에 사는 사람이 코끼리새의 알이 쉬운 먹잇감으로 생각해, 번식의 영향을 주었습니다. 결국
서식지
파괴와 인류와 함께 들어온 맹금류 때문에 일어난 질병 등 이러한 이유로 코끼리새는 멸종되고 말았습니다. 2.콰가
서식지
:남아프리카 초원 멸종연도:1883년 멸종이유:사냥 콰가라는 이름은 이 얼룩말이 '쿠아 ...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시아,오세아니아 편
기사
l
20240224
멸종연도:1445년 멸종이유:사냥 뉴질랜드에서 사던 크지만 날지 못하는 새,모아는 여러 종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마오리족에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하여 1445년 비교적 크기가 작은 고원모아가 멸종되면서 모아라는 종은 지구상에서 절멸해 버렸습니다. 9.태즈메니아 주머니늑대
서식지
:호주 태즈메니아 섬 멸종연도:1936년 멸종이 ...
겨울 철새 강연 및 탐조, 두루미 - 지사탐 특별 탐사
기사
l
20240215
관심을 가지고 모니터링과 보호 활동을 하는 시민과학자가 많아진다면 새들을 보호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철새들에 대한
서식지
환경에 대한 관심과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강화도를 찾아 오는 두루미는 위치추적장치가 없는 어른 두루미들이여서 어디에서 날아 오는지, 어느 무리의 두루미인지, 날아갔던 두루미가 다시 강화 갯벌로 돌아온건지 ...
11기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페스티벌 & 수료식
기사
l
20231210
유사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말씀이 기억에 남습니다. 탐사기록을 올릴 때 정확한 종을 기록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많은 조사가
서식지
환경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열심히 해야겠다는 마음도 생겼습니다. 한 해 동안 현장 교육과 연구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교육해주신 연구원님들께 감사한 마음과 강연을 들려주셔서 즐거웠습니다. ● 지구 ...
도시숲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프로젝트의 대망의 마무리! 시민 과학 토론회 후기
기사
l
20231107
느낀점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엄마가 일월저수지 10개월간의 기록을 발표하였습니다. 맹꽁이팀은 처음으로 대전에 맹꽁이의
서식지
를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1차조사때 맹꽁이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얼마 지나 맹꽁이를 찾았지만 그 지역은 현재 공사중이라고 합니다. 그 소식을 들으니 너무 슬펐습니다. SAVE EARTH팀은 집근처의 식물을 발표하였습니다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