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저고리"(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산군은 좋은 왕이 될수 있었다고????기사 l20211223
- 수 있었겠죠. 연산군이 폭군이된 가장큰 문제는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 때문이죠. 어느날 어떤 신하가 폐비윤씨가 흘린 피가묻은 저고리를 가져다 주자,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가져간 이세좌 등을 죽이고 왕실의 어른 인수 대비에게 까지 난동을부려 돌아가시게 하죠. 만약 연산군이 어머니의 사랑을 받았더라면 지금보다는 덜한 평범한 왕이 되지 않았을까 ...
- 一月傳(일월전) 제 07장 : 장발포스팅 l20210708
- 1. "월아 이 한복 어때?" "헐……." "맘에 들어?" "네…… 감사해요." "하하, 맘에 든다니 다행이네." 미르가 골라준 남색 치마와 하얀 저고리 한복. 그는 보기완 다르게 패션감각이 뛰어난 청룡이었다. "……ㅎㅎ(자기가 골라준 옷 월이가 마음에 들어하자 뿌듯해하는 미르)" + BEHIND 2. "헉! 월 아가씨! 완전 아름다우십니다 ...
- 14문 14답포스팅 l20210514
- 이번생엔 꽃길만 걷자~ 유후~ "다이조브 데스까??(괜찮으세요?)" 뚠뚠! "오니 땜에 안 괜찮았는데 언니 보고 기분 업!! 업!!" "이 저고리, 기억안나?" 뚠뚠! "너무 잘나! 어떻게 그 명장면을 잊을 수가 있겠어~~~" 근데 말이야~, 기유 오빠랑은 언제 사귀니이~~ 워우워~ . . . 다들 비켜!!!(쨘! 쨘!) 내가 진짜, ...
- 설날의 모든 것기사 l20190202
- 오늘이래요 곱고 고운 댕기도 내가 들이고 새로 사온 신발도 내가 신어요 우리 언니 저고리 노랑 저고리 우리 동생 저고리 색동 저고리 아버지와 어머니 호사하시고 우리들의 절 받기 좋아하세요 우리 집 뒤 뜰에는 널을 놓고서 상 들이고 잣 까고 호두 까면서 언니하고 정답게 널을 뛰-고 나는 나는 정말로 참말 좋아 ...
- 옛날 사람 古人物포스팅 l20181201
- 1. 저고리 시스터즈의 오빠는 풍각쟁이야2. 가거라 38선3. 조용필 단발머리4. 강진의 땡벌제가 아재라 아재개그에 이어 아재 노래를 올리네요..... 왜지?보너스! 형이 동생에게 박을 주면?박준형 ...
- 우리나라 책과 인쇄기의 역사를 알아보고기사 l20180806
- 안녕하세요? 이소민 기자 입니다. 저는 춘천에 있는 책과 인쇄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책의 역사를 알아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책의 역사를 전시만으로 나만의 생각을 이어갈수 있다는 것이 저에게는 좋 ... 시대로 시간여행을 떠난 것 같은 느낌을 느꼈고 엄마 아빠의 생활모습을 보며 또 다른 책의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된 것 같습니다. . ...
- 재미있는 사람 접기~!! (한복입은 여아)기사 l20170615
- 3,사선으로 접습니다. 4,뒤집어서 윗 부분은 조금 접어줍니다. 5,한번 더 접어줍니다. 6,뒤집어서 양쪽 귀퉁이를 접습니다. 7,그럼 저고리 완성!! (치마) 제일 먼저, 반을 접고 또 반을 접어줍니다. 2,위처럼 종이를 모아 주세요. 3,종이를 모은 상태로 눌러줍니다. 4,종이를 위처럼 접습니다. 5,그러면 치마는 끝입니다. 이제 마지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전에서 역사를 엿보다기사 l20170211
- 상상력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옛날 사람들이 옷을 만드는 데에 열심이었겠습니다. 배자라는 옷은 조끼형 윗옷으로, 저고리 위에 입습니다. 남녀 모두 착용합니다. 오늘날에는 점퍼식으로 만든 배자도 있습니다. 이 사진은 단령이라는 옷입니다. 궁궐에서 신하들이 입었습니다. 청색은 3품이고, 자주색은 가장 높은 품계인 1품입니다. ...
- 우리나라의 첫 명절, 설날기사 l20170126
- 고리나 벨크로(찍찍이)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나 마고자가 있어서 마고자를 입으셔야 하는 분은 '속바지 - 바지 - 저고리 - 배자조끼 - 마고자 - 두루마기' 순서로 입으시면 됩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대부분 마고자를 입지 않는 편입니다. (내용 출처: '설빔한복'님 블로그) 다음으로, 세배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
-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 설기사 l20170125
- 폭이 왼쪽으로 오게 입습니다. 이후 허리띠로 허리를 잡아매는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여밉니다. 그리고 바짓부리를 대님으로 맨 후, 저고리를 입고 고름을 맵니다. 마지막으로 조끼를 입고 마고자를 입으면 남자 한복도 다 입은 것입니다. 밖으로 나갈 때나 어른께 절을 할 때는 두루마기를 입습니다. 설에 하는 민속놀이는 우리가 잘 아는 윷놀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