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렬함
맹렬함
선명
짙음
농후함
뉴스
"
강렬함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130억 년 전 '돌연사'한 은하,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천문학자들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으로 관측한 '죽은' 은하. 이 은하는 빅뱅 이후 7억 년 만에 별 생성을 멈췄다. JADES Collaboration 제공 천문학자들이 130억 년 전 갑자기 새로운 별 생성을 멈추고 '죽은' 은하가 관측됐다. 토비아스 루저 영국 케임브리지대 카블리 우주론 연구소 연구원이 이끈 ... ...
고양잇과 동물, 친숙한 사람 목소리 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고양잇과 동물도 사람의 목소리를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lackdovfx/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비협조적이고 까칠한 동물로 알려진 고양잇과 동물도 친숙한 사람의 목소리와 낯선 사람의 목소리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잇과 동물은 사회인지 능력이 부족하다는 개념에 반박한 ... ...
태양계 밖에도 생명체 있나? CO2 비율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9
태양계 바깥 행성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양을 분석해 행성의 생명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기 중 탄소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행성의 생명체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우즈홀 해양학 연구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친구나 연인 사이에 갈등은 항상 있는 것이지만 쓸데 없이 갈등을 더 키우는 습관이 있다. 바로 선택적 기억이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작은 서운한 일이 생겼을 때 그 일로만 다투는 게 아니라 생각해보니 이 때도 그 때도 이런저런 서운한 일이 있었다며 과거의 모든 서운함을 ... ...
[주말N수학]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셀러 작가
수학동아
l
2023.12.02
사쿠라이 스스무작가. 수학동아 제공 최근 일본 수학 문화를 취재하기 위해 일본 도쿄에 있는 대형 서점 두 곳을 찾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국내 서점에는 수학책 책장이 많아야 2, 3개지만 두 곳 모두 5개의 책장에 걸쳐 수학책이 진열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20~30대부터 노년층까지 ... ...
[주말N수학]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는 친환경 로켓 발사
2023.10.21
우주 항공 스타트업인 스핀런치는 진공 상태인 대형 원심분리기 안에 발사체를 넣은 뒤 빠르게 회전시켜 던져서 발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SpinLaunch 제공 우주를 향한 발사라고 하면 대부분 강렬한 섬광을 뿜는 ‘로켓’을 떠올린다. 우주에 무언가를 보내기 위해 지구의 중력을 박차고 오르 ... ...
비발디 ‘사계’ 2050년 버전...AI가 재창작하니 ‘어둡고 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사계 2050 대전 포스터. KAIST 제공. 18세기 이탈리아 작곡가 비발디 협주곡 ‘사계’는 계절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명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심각한 기후변화를 겪은 뒤 미래의 ‘사계’를 인공지능(AI)이 음악으로 표현하면 어떨까. 2050년 대전광역시 기후 예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발디의 ... ...
[과기원NOW] KAIST, '색면추상의 거장' 유희영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유희영 특별전시 포스터. KAIST 제공 ■ KAIST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이자 한국 색면추상의 거장으로 불리는 유희영 화백의 기증 작품 특별전을 대전 KAIST 본원 대강당에서 4일 개막한다고 밝혔다. 색면추상은 넓은 색면에 강렬하고 단순한 색채를 표현하는 것이 특징인 예술 분야다. 유 화백의 기증작 ... ...
'우주의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집중 관측한다… 유럽, '체렌코프 천문대' 준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8
감마선 폭발의 순간을 표현한 상상도. ESO 제공 초대형 별의 폭발과 블랙홀 탄생의 비밀을 풀기 위한 차세대 천문대가 오는 2026년 구축된다. 유럽우주국(ESA) 중심으로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체렌코프 망원경 천문대(CTAO)'가 주인공이다. CTAO가 가동되면 통상 인공위성에 의존하던 강력한 '감마선 폭 ... ...
이끼의 경고…"4억년 견딘 히말라야 이끼, 온난화에 멸종위기"
연합뉴스
l
2023.08.10
연합뉴스 제공 빠른 진화 속도로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며 4억년을 살아온 히말라야 티베트고원의 이끼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랄프 레스키 교수와 중국 서우두사범대 허이쿤 교수팀은 10일 과학저널 '셀'(Cell)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