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곡
각본
드라마
마지막
전극
극본
연극
뉴스
"
극
"(으)로 총 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친환경 건식 반도체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개발했다. 100밀리줄(mJ)/cm^2 이하의 노광량에서도 충분히 반응하는
극
자외선 감도를 지닌 물질을 합성했다. 노광량이란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감광성 물질이 희망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빛의 총 에너지다. 연구팀은 개발한 물질에 최적화된 열기반 건식 공정법을 통해 80nm 수준의 ... ...
한국 첫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 2년 더 일한다…2028년 달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다누리의 추가 임무연장과 운영 궤도 변경을 통해 각 임무 탑재체별 성과를
극
대화하고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과 2032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달착륙선 계획에 도움이 되도록 다누리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너무 차이가 나지는 않게끔 하면서 안정성 확보 등 질적인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 GIST
극
초단광양자빔특수연구동에 설치된 4PW(페타와트)급 레이저 장비. 김경택 교수 제공 Q. 전자는 어떻게 가속하며 입자가속기와는 무엇이 다른가. "4PW를 쪼개서 전자 가속과 충돌시킬 레이저에 나눠서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
복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새로운 지침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노 교수는 "마이크로파(Microwave) 대역에서부터
극
자외선(Extreme Ultraviolet, EUV) 대역에 이르는 광범위한 파장 대역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 설계 지침을 제시해 메타표면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며 "파장이 짧은 자외선 대역에서도 공정 조건을 매우 완화할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연구팀은 또 신경세포를 억제하는 일방향성을 위해 단맛 세포에 존재하는 채널인 과분
극
활성화 고리형 뉴클레오티드 개폐통로(HCN 채널)가 쓴맛 세포에서 보내는 억제신호를 차단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HCN 채널은 심장과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는 이온통로다. 연구팀은 나아가 초파리 ... ...
KAIST, 세대 초월 AI반도체·화학·전산 협업연구실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실험장비를 자체 개발하는 독보적 기술을 확보하며 실험 물리화학을 개척하고 있다.
극
초단 레이저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펄스를 방출하는 레이저로 정밀한 실험이나 첨단 산업 등에 활용된다. 초음속 분자선은 음속(소리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분자나 원자의 흐름으로 분자동역학이나 ... ...
얇을수록 저항 줄어드는 신물질 첫 개발…차세대 반도체 활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몰리브데넘(Mo)과 루테늄(Ru)도 일정 두께 이하로 얇아지면 비저항이 급격히 증가해 궁
극
적인 대체 물질이 필요한 상황이다. 새로운 물질을 공정에 도입하려면 천문학적인 금액이 필요하므로 확실한 이점이 있는 물질을 찾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금속 물질인 나이오븀(Nb)도 두께에 따라 ... ...
[과기원NOW] KAIST 창업기업, CES 2025 이노베이션 어워드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계수와 항복 강도를 보였다. 이 교수는 "기존 플렉서블 광전
극
의 구조적·성능적 한계를
극
복하고 태양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의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9/D4TA0670 ... ...
겨울철 벼락에 취약한 풍력 발전기 피해 막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기술로 풍력 발전기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여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하고 궁
극
적으로 소비자 전기료 절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리절트 인 엔지니어링’에 게재됐고 ‘국제대전력망협의회(CIGRE)’ 공식 저널에 기고됐다 ... ...
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 단장에 김경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강력한 아토초 펄스를 이용해 양자전기역학 현상 연구를 필두로 빛과 물질의
극
한 상호작용을 규명해 천체물리학·화학·생명·양자과학을 아우르는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노도영 IBS 원장은 “김 단장은 국내 아토초 과학 분야를 개척하고 고부가가치 초강력 레이저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