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뉴스
"
나비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훨씬 길었다. 전기장을 위협으로 인식한 것이다. 유럽공작
나비
애벌레는 방어 행동으로 몸을 둥글게 마는 대신 몸을 휘두르는 '플레일링(flailing)'이나 깨무는 행동을 한다. 이 애벌레도 말벌 모사 전기장이 있을 때 플레일링을 지속한 시간이 더 길었다. 또 전기장이 켜져 있을 ... ...
세계 두번째 유전자 조작 돼지 신장 사람에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몸에 면역 체계를 담당하는 돼지의 '흉선'도 이식했다. 흉선은 가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나비
모양의 신체 기관으로 면역 세포를 만든다. 랭곤 병원은 미국 뉴욕타임즈에 "이번 수술은 심장 펌프를 장착한 환자가 장기 이식을 받은 최초의 사례"라고 밝혔다. 보통 심장 펌프를 이식한 환자가 장기 ... ...
"함께 찾는 생명, 더불어 사는 지구!"… 지구사랑탐사대 12기 발대식 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15
탐사대원으로 불리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 살고 있는 개미와 거미,
나비
등 다양한 생물 종의 소리와 사진 등을 기록해 스마트폰 앱에 올린다.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모아 생태 연구에 활용한다. 이번 12기 탐사대에는 지난해보다 400여 명 많은 4038명(1307팀)이 참여했다. 이는 2013년 ... ...
나비
도 외모 보고 배우자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나비
에게서 발견된 유전자가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전자 수준에서 특정한 짝의 외형을 선호하는 원리를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실험에서 확인된
나비
의 유전자는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문어에서 발견한 3억8000만년 전 성염색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00만 년 전 사이에 처음 등장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고대의 성염색체"라고 설명했다.
나비
를 포함한 일부 생물들도 ZZ/ZO 성 결정 방식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까지 가장 오래된 동물 성염색체는 약 1억8000만 년 전 철갑상어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 ...
[과기원NOW] 포스텍,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1
이용한 광결정 구조를 큰 면적으로 자기 조립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나비
의 날개나 새의 깃털의 구조처럼 나노 구조의 모양과 방향성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시각화시킨 것이다. 연구팀은 외부 조작 없이 자발적으로 조직화하는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을 통해 수백 개의 결함이 ... ...
비전AI·우주재료·수리…KAIST, 선후배 협업 ‘초세대 협업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현상을 기술하는 비선형 분산 방정식의 동역학 연구 분야 전문가이고, 강 참여교수는
나비
에-스토크스 방정식과 오일러 방정식에 관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해 주목받았다. 이들은 협업을 통해 아시아 최고의 편미분방정식 연구그룹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 ...
환경오염 물질이 꽃향기 분해…곤충, 꽃 못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후각에 교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벌이나
나비
등의 곤충들은 꽃에서 꿀을 찾는다. 이 때 꽃 수술의 화분을 암술머리로 옮기는 수분 활동을 한다. 곤충들이 꽃을 찾을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꽃의 향기’ 덕분이다. 연구팀은 환경 오염물질 ‘질산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게 무슨 말일까.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페니실린 발견의
나비
효과 앞선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2933)에서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이 플레밍에 의해 발견되었지만 실제로 감염병 치료약으로 사용되기까지 여러 해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