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뉴스
"
나비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찜통더위에 오슬오슬, 식욕 줄고 체중 늘면 '이 질환' 의심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내분비기관이다. 목 앞 가운데 목젖 아래에 위치하며 기도 주위를
나비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갑상선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갑상선호르몬 생성이다. 갑상선호르몬은 신체기관의 기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을 뛰게 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깨비 장마 시달리는 기상청, '맹목적 비난' 멈춰야
2024.07.31
수 없는 가장 대표적인 '비평형·비선형'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마존 정글에서 작은
나비
의 날갯짓이 북경에서 거대한 태풍을 일으키게 된다는 '
나비
효과'가 바로 그런 비평형·비선형 현상이다. 물론 정확한 일기예보에 대한 국민적 기대를 나무랄 수는 없다. 기상청은 예보의 적중률을 높이기 ... ...
정전기로 자석처럼 꽃가루 원격 수집하는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수분율을 개선하는 데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나비
와 나방의 정전기 양이 기후나 생태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더 다양한 종에서 생태, 생활 방식과 정전기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계획이다. - doi.org/doi/10.1098/rsif.2024.0156 ... ...
인종차별 의미 담긴 식물명 2026년부터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이처럼 명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름을 딴 ‘히포타 무솔리니’라는
나비
도 있는데 이 같은 이름은 많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점에서 그동안 논란이 돼왔다. 하지만 국제동물명칭위원회(ICZN)는 아직 불쾌한 의미가 담긴 동물 이름을 변경하는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
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생성AI를 활용해 강한 지진이 발생한 마을의 전경을 상상한 그림. DALL·E 제공 2024년 1월 1일 일본 노토 반도에는 규모 약 7.6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지진으로 200여 개의 ... 행동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생각이 많아집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7월호, 공포의
나비
효과 기후위기가 땅을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바람이 이들의 이동을 도왔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탈라베라 연구원은 5~8일간 작은멋쟁이
나비
가 대서양을 건너 쉬지 않고 약 4814km를 이동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곤충의 이동을 분석하는 연구는 생태학, 질병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곤충은 꽃가루, 곰팡이, 심지어 식물 질병까지 먼 거리까지 ... ...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훨씬 길었다. 전기장을 위협으로 인식한 것이다. 유럽공작
나비
애벌레는 방어 행동으로 몸을 둥글게 마는 대신 몸을 휘두르는 '플레일링(flailing)'이나 깨무는 행동을 한다. 이 애벌레도 말벌 모사 전기장이 있을 때 플레일링을 지속한 시간이 더 길었다. 또 전기장이 켜져 있을 ... ...
세계 두번째 유전자 조작 돼지 신장 사람에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몸에 면역 체계를 담당하는 돼지의 '흉선'도 이식했다. 흉선은 가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나비
모양의 신체 기관으로 면역 세포를 만든다. 랭곤 병원은 미국 뉴욕타임즈에 "이번 수술은 심장 펌프를 장착한 환자가 장기 이식을 받은 최초의 사례"라고 밝혔다. 보통 심장 펌프를 이식한 환자가 장기 ... ...
"함께 찾는 생명, 더불어 사는 지구!"… 지구사랑탐사대 12기 발대식 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15
탐사대원으로 불리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거주 지역에 살고 있는 개미와 거미,
나비
등 다양한 생물 종의 소리와 사진 등을 기록해 스마트폰 앱에 올린다.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모아 생태 연구에 활용한다. 이번 12기 탐사대에는 지난해보다 400여 명 많은 4038명(1307팀)이 참여했다. 이는 2013년 ... ...
나비
도 외모 보고 배우자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나비
에게서 발견된 유전자가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전자 수준에서 특정한 짝의 외형을 선호하는 원리를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