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
난자
뉴스
"
난세포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늙은 쥐 '출산 능력' 향상시킨 화합물..."난임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생식세포인 난자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체 내부를 비롯해 자연계에서 널리 발견되는 화합물이 노화로 약화된 임신 능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어 자연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들을 위한 치료법 개발의 단서를 제공했다는 평가다. 보 시웅 중국 난징농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에 걸리지 않는 '이 동물'의 장수 비결
2023.09.20
아프리카 동부에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노화의 징후를 보이지 않아 수명이 길고(아직 정확히 모른다) 암도 거의 걸리지 않는다. 위키피디아 제공 오늘날 대략 6500종의 포유류가 존재하는데 그 생김새만큼이나 수명도 다양하다. 대체로 덩치가 클수록 오래 살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박쥐가 대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자궁 내막 두께 정상화하는 ‘하이드로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자궁 내막을 재생하는 역할을 하는 하이드로젤. 차 의과대-포스텍 제공. ■ 차의과대와 포스텍 공동 연구팀이 자궁 세포 환경과 비슷한 하이드로젤을 개발했다. 불임, 난임 치료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자궁 내막 성분과 유사한 이 젤을 쥐의 자궁강에 주입하자, 자궁 내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가지 방법들
과학동아
l
2023.06.18
과학동아 제공 ‘따끔’ 손을 씻는데 오른쪽 검지 끝이 아린다. 조금 전 책을 정리할 때 종이에 베인 모양이다. 어젯밤 모기 자국을 긁어 생긴 피딱지가 채 떨어지지도 않았는데, 오늘 아침 여드름을 짜다가 벗겨진 피부가 아직까지 쓰라린데 또 상처라니! 누구나 일상에서 자신도 모르는 새 입게 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70주년을 맞아 학술지 ‘네이처’는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기여를 재평가한 기고문을 실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올해는 1953년 DNA 이중나선 구조 규명 70주년이지만 조용히 지나갔다. 70은 10년 단위의 하나일 뿐 별다른 의미가 없는 숫자여서일 것이다. 아마도 서구권에서 수나 ... ...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05.28
과학동아 제공 지난 3월 한 실험실에서 생쥐 7마리가 태어났다. 이들의 생물학적 아빠는 둘. 엄마는 없다. 두 아빠 생쥐는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을까. 인간도 동성 커플간 아이를 낳을 수 있을까. 연구의 발자취를 따라가본다. 암컷 홀로 번식을 하는 척추동물들이 있다.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에 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두창(천연두)바이러스. 위키미디어 제공 ● 역사 해석이 달라지는 여러 사례들 황산벌에서 신라군과 맞서 싸운 계백의 백제군은 백제에게는 충신이지만 신라에게는 반드시 쳐부수어야 하는 적군이었다. 단종에게는 사육신이 목숨을 건 충신이지만 세조에게 사육신은 죽이지 않으면 두고두고 ... ...
"여성 5명 중 1명 난임…인공유산이 가장 큰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한정열 산부인과 교수가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인제대 일산백병원 제공 임신을 준비 중인 여성 5명 중 1명은 난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유산, 연령, 과체중 등이 난임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인제대 일산백병원은 한정열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이 2019년 5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 남 ... ...
베일 벗는 '손끝의 암호' 지문...'나노' 인공 지문까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오늘도 지문으로 스마트폰 잠금 화면을 해제하셨나요. 지문은 사람마다 달라 암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런 지문은 어떤 이유로 우리 몸에 존재하는 걸까요? 지문의 정체와 무궁무진한 활용까지 모두 알아봤습니다. ○ 지문의 탄생은 우연의 연속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위키피디아 제공 1990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단백질 지정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는 될 것이라고 봤다. 그런데 작업이 진행되면서 예상값이 점점 줄어들었고 해독 결과 불과 2만 개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 중요한 건 유전자 개수가 아니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