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 의사 결정 돕는 새로운 뇌 회로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위협적인 상황에서 여러 행동 선택지들이 충돌할 때 특정 행동을 선택하게 하는 새로운
대뇌
피질과 시상 사이의 신경 회로 및 세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극한의 상황에서 여러 자극들에 의해 촉발되는 무수한 결정의 순간들을 동시에 맞게 된다. 빠르게 ... ...
생각할 때 눈을 위로 치켜뜨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알려져 왔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복잡한 인지 결정에 있어
대뇌
피질보다 더 많이 관여한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doi.org/10.1038/s41593-024-01744 ... ...
뇌 표면 밀착 전자패치, 약 안 듣는 뇌질환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뇌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된 전자패치는 음압 진동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대뇌
피질전도 측정의 질을 높였다. 연속적인 초음파 자극 환경에서 뇌파 강도를 실시간 진단하면서 적시에 신경 자극 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환자맞춤형 뇌질환 제어 전자약 기술이 구현된 것이다. 뇌전증 쥐 ... ...
인간 뇌, 빠르게 커진 진화의 대가는 노화 취약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피질 손상은 알츠하이머를 포함한 다양한 치매 질환과도 관련 있다. 연구팀은 "인간
대뇌
피질의 빠른 확장이 노화에 취약하다는 '대가'를 치렀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 doi.org/10.1126/sciadv.ado273 ... ...
"자식 사랑이 가장 강렬"…뇌에서 '사랑의 강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corpus striatum)의 보상 시스템 깊은 곳에서 활성화가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선조체는
대뇌
피질의 정보를 받아 보상, 자기 조절이나 운동에 관여하는 중요한 뇌 영역이다. 뇌 활동은 대상과의 친밀감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낯선 사람에 대해 느끼는 사랑은 친밀한 사이에서 나타난 사랑보다 ... ...
인공와우 이식, 청력뿐 아니라 뇌 기능 회복도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난청 환자가 늘어나는 초고령사회에서 인공와우가
대뇌
기능 유지를 돕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고도난청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 ...
두개골 열지 않고 주사기로 뇌신경 센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지름 2mm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주사기로 주입할 수 있도록 했다. 수축했던 센서는
대뇌
피질 표면에 도달한 후 복원되며 6~12mm 크기로 확장해 뇌를 모니터링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동물 실험에서 뇌피질전도신호(ECoG)를 감지하고 뇌압, 뇌 온도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데 ... ...
뇌 전기 자극으로 식욕 억제 가능성…비만 치료 새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전기의료기기연구단 신기영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두피를 통해
대뇌
피질을 전기적으로 자극해 식욕을 억제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 신호로 식욕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용화된 전기 자극기를 이용해 실험을 실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법버섯' 물질, 정신질환 치료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3
중 4명의 참가자는 6개월에서 최대 12개월 후 실험을 반복했다. 실험 결과 실로시빈은
대뇌
피질과 피질 하부의 기능적 연결성(FC)을 방해하며 뇌가 특별한 작업을 하지 않거나 휴식할 때 활성화되는 뇌 연결 집합인 '기본 모드 네트워크(DMN, Default Mode Network)'의 구분 경계를 무너뜨렸다. 뇌의 기능적 ... ...
임신부 뇌,
대뇌
피질 줄었다…"뇌 기능 저하 아닌 애착행동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02
뇌 기능의 저하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잘못된 통념이라는 점을 짚었다.
대뇌
피질이 축소되어도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는 신경세포가 실제로 손실될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이러한 뇌의 변화가 기능의 저하가 아닌 신경 기능의 전환이나 개선의 측면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