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뚜껑
커버
마개
외피
표지
덥개
지붕
뉴스
"
덮개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입자로 이뤄져야 한다. 퇴적암 중에서도
덮개
암에 적합한 암석은 제한적인데 셰일은
덮개
암에 적절한 암석이다. 고생대 바닷물에 잠겨있던 캐나다 로키산맥에선 셰일과 같이 입자가 촘촘한 퇴적암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캐나다 앨버타=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셰일이 중요한 또 다른 ... ...
[탄소중립 최전선] ②땅 밑 저장한 탄소 움직임도 분석...산업화 이끄는 호주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8
탄소를 땅속에 저장하기 좋다. 또
덮개
암이 고갈 가스전과 염대수층 상부에 분포한다.
덮개
암은 땅 속에 묻힌 탄소가 다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소를 안전하게 주입할 땅 속 장소를 찾는 것은 백사장에서 바늘을 찾는 일에 비유될 정도로 찾기 쉽지 않은데 오트웨이는 여러 ... ...
[탄소중립 최전선] ①꿈틀대는 탄소저장 비즈니스...척박한 환경을 '기회'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보통 CO2 지중저장은 사암층에 많이 하는데 이 때 저장한 CO2가 다시 유출되지 않게
덮개
암이 필요하다"며 "현무암층에 저장하면 CO2의 반응성이 좋아서 2년 내에 영구 저장된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에서도 최근 남해 대륙붕에 있는 현무암 대지 구조에 CO2 지중 저장이 가능한지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 ...
멸종 고대 인류로 알았던 윈난성 마루동인은 현생인류 조상
연합뉴스
l
2022.07.15
피가 섞인 고대 인류로 간주돼 '마루동인'으로 애매하게 분류돼 왔다. 연구팀은 머리
덮개
뼈에서 추출된 고대 유전자의 게놈을 분석해 세계 도처의 인종과 비교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의 동아시아 조상과 깊이 연관돼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현재 동아시아와 인도차이나반도, 동남아 섬 ... ...
드론택시는 더 안전하게, 미사일은 더 정밀하게…'GPS 오차 1m 이내로' 항공위성 1호기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로켓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항공위성 1호기는 이날 위성보호
덮개
(페어링) 분리, 1단 로켓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발사 후 약 28분 뒤인 오전 7시 18분쯤 발사체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항공위성 1호기는 앞으로 12일간에 걸쳐 한반도 상공 3만600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날 누리호는 1단 엔진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
) 분리, 2단 엔진 분리, 성능검증위성과 위성 모형 분리 등 정해진 비행 계획을 완수했다. 누리호가 쏘아 올린 성능검증위성과의 첫 교신도 발사 후 42분이 지나 예정대로 남극 세종기지와 이뤄졌다. ... ...
[영상+]누리호가 찍은 지구…우주까지 가는 전 과정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누리호는 다시 고도를 높여 가다 발사 227초 후 고도 202km를 지나며 위성을 보호하던
덮개
(페어링)를 분리했다. 발사 269초 뒤 고도 237km. 이번엔 누리호의 마지막 단인 3단 액체엔진에 불꽃이 켜졌다. 누리호의 3단에는 위성 궤도투입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성능검증위성과 위성모형이 실려있었다. 52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점화된 누리호는 고도를 높여 가다 발사 235초 후 고도 191km를 지날 때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
인 페어링을 분리했다. 2009년 8월 나로호(KSLV-) 발사 당시 페어링 한 쪽이 분리되지 않으면서 실패한 만큼 긴장을 늦출 수 없었지만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했다. 발사 245초 후에는 고도 200km를 통과했다. 발사 ...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발사됐다. 발사 127초 뒤 1단 엔진 분리와 2단 엔진 점화가 확인됐다. 페어링
덮개
분리는 발사 233초 뒤 수행됐다. 2단엔진 분리와 3단 엔진 점화는 274초 뒤 이뤄졌다. 3단엔진 연소가 끝나고 성능검증위성 궤도 투입이 880초 뒤 이뤄졌다. 뒤이어 위성 모사체도 발사 950초 뒤 궤도에 투입됐다. 기존보다 1 ... ...
[영상+]누리호 예상보다 17초 빠른 950초 만에 위성모사체 분리…발사 긴박했던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점화된 누리호는 고도를 높여 가다 발사 235초 후 고도 191km를 지날 때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
인 페어링을 분리했다. 발사 245초 후에는 고도 200km를 통과했다. 발사 274초 후 고도 258km에서는 2단 로켓이 연소를 마치고 분리됐다. 이륙 880초 후 고도 700km에서 성능검증 위성 분리가 확인됐다. 기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