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okyo
도꾜
동경
토쿄
뉴스
"
도쿄
"(으)로 총 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바이오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15개 선정…3년간 245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글로벌 공동연구센터에는 2개의 센터가 선정돼 덴마크공과대(DTU), 일본
도쿄
대 등과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권역별 글로벌 공동연구센터의 원활한 연구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총괄·운영·지원 센터에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선정됐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 ...
전기기기 발열 막는 단서 발견…테슬라 밸브 원리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등 전자기기의 발열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무라 마사히로 일본
도쿄
대 산업과학연구소 교수팀이 테슬라 밸브 구조를 활용해 흑연 결정 내에서 열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전자기기의 발열 현상은 ... ...
현대 일본인 조상은 2000년 전 이주한 '한반도 출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된 대륙 이주민 대부분이 한반도에서 건너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오하시 준 일본
도쿄
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약 2300년 전 일본 야요이(Yayoi) 시대 유골의 DNA를 추출하고 분석해 현대 일본인의 유전자 기원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5일 국제학술지 '인간 유전학 저널'에 공개했다. 일본 열도는 ... ...
日서 최고 자리에 오른 과학자가 한국으로 돌아온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만날 때 그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다.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도쿄
대 응용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1999년 리켄에서 박사후 과정을 시작하면서 이 분야에 발을 들였다. 김 단장은 "표면은 내부 물질과 전혀 다른 성질을 띠는 등 '예측불가능성'이란 매력을 갖고 있다 ... ...
"포유류는 항문으로도 숨쉬어"…올해 이그 노벨상 수상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Ig) 노벨 생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13일 영국 가디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일본
도쿄
치의학대 연구팀이 몸집이 작은 쥐와 큰 쥐, 돼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들 포유류가 직장을 통해 전달되는 산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로 이 연구로 12일(현지시간) 미국 ... ...
'레이저로 꽁꽁' 현대 양자이론 증명할 반물질 얼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이를 활용해 정밀 기술이나 양자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요시오카 고스케 일본
도쿄
대 양성자과학센터 교수팀이 빠르게 날아가는 '포지트로늄(positronium)'을 레이저를 이용해 극도로 냉각시켜 거의 정지에 가까운 상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포지트로늄은 전자(물질)와 양전자(반물질 ... ...
한국인 첫 리켄 수석과학자 김유수 교수, IBS 신임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이끌었다. 한국인이 리켄 수석과학자에 오른 건 김 신임 단장이 처음이다. 2022년에는
도쿄
대 응용화학과 교수로 임명됐다. 김 단장은 표면 및 계면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볼프강 파울리가 “물질은 신이 창조했지만 표면은 악마가 만들었다”고 말했을 정도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비 많은 노토반도, 땅속 유체 늘어 대지진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8.25
00여 명이 숨졌다. 싱가포르 난양기술대, 중국 지진국 지구물리학 연구소, 일본
도쿄
대 지진연구소 등 공동 연구팀이 노토반도 대지진 당시의 데이터를 분석해 노토반도 대지진은 유체가 풍부한 단층대가 느리게 파열되면서 발생했다는 연구결과를 23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150년 주기 '난카이 대지진' 오나…"부산·울산 큰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실종자가 나오고 건물 209만 채가 피해를 볼 것으로 일본정부는 추정했다. 홍 교수는
도쿄
와 가까운 도카이 지역이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난카이 해구 대지진이 발생하면 한국도 큰 피해를 볼 것이라고 보고 있다. 홍 교수는 "2011년 한국 동해안과 약 1200km 떨어져 ... ...
성인 키 1m 불과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호모 사피엔스가 호미닌에서 탄생한 것으로 알려져 았다. 호주 울런공대와 일본
도쿄
대, 인도네시아 지질연구센터 등 국제 연구팀은 7일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 마타 멘게에서 발견된 70만년 전 호미닌의 팔뼈와 치아 화석이 성인 키가 1m에 불과한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의 유골로 분석됐다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