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뉴스
"
돌
"(으)로 총 805건 검색되었습니다.
3중 엑스선으로 땅속 정밀 투시…"지뢰탐지·유해발굴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디지털 엑스선원 3개가 장착된 30cm 길이의 벽
돌
모양 모듈을 만들어 약 10cm 깊이 흙 속에 파묻힌
돌
, 뼈, 나무, 펜, 드라이버 등을 영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사물의 형태와 종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향후 기술을 고도화해 수 미터 깊이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공생 관계에 있는 뿌리혹박테리아와 같은 계열이다. 해양 규조류인 고래무늬쪽배
돌
말속(Haslea)의 한 종 세포 안에는 질소 고정 박테리아(근류균)이 공생하고 있고 이들이 해양 질소 고정의 상당 부분을 맡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공생을 시작하고 1억 년이 지나는 동안 박테리아 게놈이 꽤 ... ...
맞춤형 교육의 새 시대?…AI 디지털교과서 명과 암
과학동아
l
2024.12.07
정보는 스스로 생각하고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
돌
다리도 두드리는 스웨덴의 디지털 교육 전략 스웨덴 교육부는 2024년 1월 "디지털 학습 도구는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하지 않고 촉진할 수 있는 연령에 도달했을 때 수업에 도입돼야 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 ...
의대생·전공의 40% 참여 의협 비대위…"정부 변화 없으면 저항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1∼2년 뒤 해부학, 생리학 등을 가르칠 교수가 없고 나중에 임상 실습을
돌
병원도 없다"며 "협의만 하면 될 문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의 특별한 변화가 없다면 비대위는 의료농단에 대해 지속해서 저항, 투쟁하겠다"며 그리될 경우 투쟁 방식은 비대위에서 논의하겠다고 했다. 다만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지구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인류가 위기를 어떻게
돌
파할 수 있을지 추측하죠. 고생물학자는 지구의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는 겁니다.” 에밀리 뱀포스 필립 J. 커리 공룡 박물관 큐레이터가 기자에게 박물관의 화석 컬렉션을 설명하고 있다. 과학동아 제공 필립 ... ...
난데없는 땅꺼짐…땅속 빈 공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26
지하철처럼 지하에서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통해 탄성파를 쏘면 이후 반사돼
돌
아오는 탄성파 신호를 분석해 빈 공간이 있는지 조사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유충식 교수는 인공위성이 관측한 영상을 이용해 땅이 가라앉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어요. 위성이 보낸 두 개 이상의 영상 ... ...
[사이언스영상] 이산화탄소를 봉인한
돌
?
SEIZE
l
2024.10.11
우리가 배출한 이산화탄소 이걸 빨아들여서
돌
로 만들어버리는 공장이 있어요. 공기를
돌
로 만든다니 사기 같기도 하고 기후변화 막을 희망이 되려나 싶기도 하고 궁금해서 씨즈가 직접 아이슬란드까지 가서 보고 왔는데요. 그 결과를 영상에서 확인해보세요! 미래 기술이 더 궁금하다면 ... ...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밝힌 것이다. 유전자 가위로 일부 바다로빈에서 TBX3A를
돌
연변이 시키니 물고기 일부가
돌
기와 음식을 맛보는 능력이 사라졌다. 연구팀은 "바다로빈의 다리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 전사인자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의 팔다리에서도 발견된다"며 "이 걷는 물고기는 특수한 신체 특성을 ... ...
'팝콘'처럼 부푼 특이 외계행성, 동쪽과 서쪽 대기 온도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공개했다. 2017년 발견된 WASP-107b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돌
듯 처녀자리에 있는 별인 'WASP-107'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WASP-107b는 목성과 비교하면 부피가 80%지만 질량은 10%도 되지 않아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 중에서 밀도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선행 ... ...
잇따른 서울 '땅꺼짐'에 전문가들 "지형 취약하고 난개발로 예측 불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동승하고 있던 70대 여성은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으나 심폐소생술(CPR)을 받고 맥박이
돌
아온 상태다. 사고 발생 이틀 뒤, 사고 지점에서 약 30m 떨어진 곳에서 도로 침하가 포착되기도 했다. 지난달 31일에는 오후 4시경 종로구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에서 종로3가역 방향으로 가는 편도 3차선 도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