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질문에 신 연구원은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전기 자극을 주기 위해서"라고 답했습니다.
두개골
과 가까운 뇌의 부위는 tRNS로 자극을 주는 것이 가능하지만 뇌의 깊은 부위는 뇌 안에 전극을 삽입하는 시술을 거쳐야만 합니다. 연구팀은 식욕을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뇌에 전극을 삽입하는 것은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소장품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1차 전시에는 대한지질도와 통영 측우대 등이 전시되고 2차 전시에는 티라노사우르스
두개골
이 전시된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장은 "별전을 통해 관람객들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국가 중요 과학기술자료와 자연유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 ...
뇌 표면 밀착 전자패치, 약 안 듣는 뇌질환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신경자극술이 등장했다. 경두개 집속초음파 신경자극술은 두피에 장착한 변환기로
두개골
에 초음파를 투과시켜 특정 뇌 조직에 집중시키는 기술이다. 하지만 환자마다 뇌신경 구조가 달라 경두개 집속초음파 신경자극술로 고정된 신경 자극을 가하면 증상이 오히려 악화되기도 한다. 이를 ... ...
두개골
열지 않고 주사기로 뇌신경 센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담겼다. Advanced Materials 제공 뇌 질환 진단·치료를 위해 뇌에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경우
두개골
을 절개하거나 깎아내는 등 수술 과정에서 위험이 크다. 국내 연구팀이 작은 바늘구멍을 통해 주사기로 뇌신경 임플란트 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중증 뇌 질환 진단 치료의 혁신이 기대된다. ... ...
주사 바늘로 수술없이 뇌질환 진단 '생분해성 전자 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펼쳐질 수 있다. 전자 텐트는
두개골
의 작은 구멍을 통해 주사 바늘로 주입된다. 이어
두개골
과 뇌 사이 공간에서 손바닥 크기 대면적으로 스스로 펼쳐져 뇌 전체를 덮는다. 진단이 끝난 후에 자연스럽게 체내에서 분해돼 사라지기 때문에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연구팀은 또 전자 텐트를 활용해 ...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없는 세상, 상상하고 싶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24.07.26
시간이 경과하며 칩의 실 부분이 뇌 바깥으로 빠져나온 것이다. 아르보 씨는 "칩은
두개골
에 고정돼 있기 때문에 실의 미묘한 움직임이 느껴지지는 않았다"며 "수술 후 두피 봉합, 뇌 박동 등의 이유로 실이 빠져나올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후 뉴럴링크는 칩이 뇌파에 더 민감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룡시대 전 '변기 모양 머리' 포식자 번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0
육지에서도 걸을 수 있지만 땅에서는 민첩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두개골
과 함께 거의 완벽한 형태의 등뼈를 발견했는데 이번 화석은 특히 발견된 위치가 중요하다. 현재 발견된 원시 사족동물 화석의 상당수는 적도 근처에서 발견됐다. 반면 가이아시아 화석이 발견된 ... ...
"네안데르탈인, 다운증후군 6세 어린이 돌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네그라'에서 1989년 발견됐다. 연구팀이 동물의 것으로 분류된 화석을 조사하다 티나의
두개골
을 찾아냈다. 뇌, 외이도 주변을 보호하는 측두골 중 하나의 화석이었다. X선으로 물체 내부를 샅샅이 볼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단층촬영(micro-CT)으로 화석을 분석했다. 그 결과 티나의 내이에 있는 ... ...
중증 뇌전증 환자에 세계 최초 뇌내 이식술…"발작 8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신경 자극기에 연결했다. 가로 세로 3.5cm, 두께 0.6cm의 이 장치는 나사를 이용해 환자의
두개골
에 고정됐다. 이식된 신경 자극기는 환자의 뇌에서 발작이 일어나는 전기 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가벼운 전기 자극을 전달한다. 이식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은 "크게 개선됐고, 발작이 줄었으며, 증상이 ... ...
새 '포식자' 육식공룡 발견…"난폭하고 초식공룡이 주식"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라 콜로니아층에서 발굴한 화석을 토대로 K. 이나카얄리의 존재를 밝혔다. 여러 개의
두개골
뼈와 함께 거의 완전하게 보존된 등뼈 및 엉덩이뼈, 꼬리뼈를 토대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공룡을 복원했다. K.이나카얄리의 이름은 파타고니아 지역의 토착부족인 테우엘체족을 이끌었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