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메디칼
의학
medical
의료
약
뉴스
"
메디컬
"(으)로 총 550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AI·반도체·의료 등 혁신기술 7개 CES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교통관리 시스템'으로 차량·이륜차 무인단속 기술을 시험하는 모습. KIST 제공 바이오·
메디컬
융합연구본부 바이오닉스연구센터는 이병철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나노-컬럼(Nano-Column) CMUT를 이용한 일회용 착용형 초음파 패치'를 소개한다. CMUT는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다. 상용기술 대비 ... ...
[과기원NOW] 교모세포종 '항암제 내성' 극복할 단서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안톤 가트너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이 이세민 바이오
메디컬
공학과 교수팀,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연구단과 APE1 단백질 등이 교모세포종의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유망한 표적 유전자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APE1 단백질 ... ...
시한부 아기, 사회인됐다…국내 첫 '생체 간이식' 주인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89%다. 간이식 역사가 깊은 미국 피츠버그
메디컬
센터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메디컬
센터의 간이식 1년 생존율이 평균 92%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우수한 성적이다. 서울아산병원은 간이식의 85%를 생체 간이식으로 시행해왔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생존율 성과다. 최근 10년간 ... ...
수컷쥐 정자 질주 비결, '갈고리' 머리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난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정훈 바이오
메디컬
공학과 교수팀이 김재익 생명과학과 교수팀, 류흥진 일본 교토대 연구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쥐 생식기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자의 이동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이같은 현상을 발견했다고 16일 ... ...
위험한 질주 즐기던 운전자, 부모님 태우면 정속주행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특정 부위 간 연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동일 바이오
메디컬
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뇌과학적으로 분석했다고 28일 밝혔다. 사람들은 관찰자가 위험을 기피하거나 선호하는 성향에 따라 자신의 의사결정을 ... ...
"콜레스테롤 색전증입니다"…의사보다 정확한 진단하는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18일 미국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달 아담 로드먼 이스라엘 디컨네스
메디컬
센터 교수 연구팀은 동일한 의료기록을 바탕으로 챗GPT가 인간 의사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렸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에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 ...
배고픔·식욕 등 인간 본능 수식으로 표현한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서울대는 최형진 뇌인지과학과·의과학과 교수팀과 김형구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
메디컬
공학과 교수팀이 AI를 활용해 인간의 본능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6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동물이 여러 행동을 하는 동안 뇌 안의 신경 신호를 관찰할 수 있을 ... ...
천진우 IBS 단장, 美 글렌 시보그 강연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이 상을 받아 뜻깊다”고 말했다. 천 단장은 ‘나노입자와 나노머신을 이용한 바이오
메디컬
이미징 및 생체 활동 조절’을 주제로 UC버클리에서 8일(현지시간) 수상 강연을 하고 연구 교류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 ...
"나노유연소자로 패치 만들어 부정맥 환자 치료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의료비가 비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김 부연구단장은 "글로벌 빅테크들이
메디컬
시장에 관심이 많고 디지털 헬스케어가 잠재력과 파급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아주 큰 시장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디지털 헬스케어에 활용할 데이터가 그리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 ...
피부 아래 췌장 조직 심어 당뇨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강현욱 바이오
메디컬
공학과 교수팀이 피하 조직에 이식해도 혈당 조절 기능을 할 수 있는 췌도 이식체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췌도는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덩어리다.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