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뉴스
"
밝기
"(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2시! 달은 지금 몇 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22
제공 지구에서는 시계를 보면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시계가 없더라도 바깥의
밝기
를 통해 낮인지 밤인지 확인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지금 달은 몇 시일까요. 지구의 시간을 바탕으로 달 궤도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면 하루 56 마이크로초의 차이가, 1년 뒤면 40m 이상 차이 나게 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대상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젖을 물린 채 자신을 바라보는 엄마의 얼굴은 주위와
밝기
가 다른 덩어리로 인식된다. 그 뒤 물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서서히 색을 식별하면서 정상 시지각을 갖게 된다. 반면 백내장 수술을 받은 청소년은 수정체가 탁한 게 문제였지 신생아 시절 망막의 발달은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여러 장의 이미지를 비교해 관측된
밝기
가 달라진 물체를 확인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밝기
가 달라지는 현상은 초신성의 증거다. 연구팀은 분석을 통해 약 80개의 초신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초기 우주에서 기존에 확인됐던 초신성보다 10배 많은 수"이라고 설명했다. ... ...
올여름 80년만의 '신성 폭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때 일어난다. 태양이 100억년 동안 방출할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하며 태양 10억개
밝기
로 빛난다. 현재 초신성 폭발이 가장 임박한 별로는 지구에서 64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베텔게우스 별이 꼽힌다. 반지름이 태양 800배에 이르는 거대한 별이다. 폭발 시기는 10만년 이내로 광범위하게 예측되고 ... ...
中, 세계서 가장 밝은 X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이름의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최근 밝혔다. 생성되는 X선의
밝기
에 따라 세대가 분류되는 원형 방사광가속기는 과학 선진국에서도 대부분 3세대 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70개의 방사광가속기가 운영 중이지만 이 중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는 미국과 독일, ... ...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하얗거나 파란색을 띠는 별은 표면 온도가 더 높습니다. 밤하늘에 보이는 별의 온도와
밝기
를 표시한 지도. 대부분의 별은 주계열성(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지나는 대각선)이라고 불리는 띠에 속해 있다.ESO 제공 20세기 초가 되자 과학자들은 밤하늘에 보이는 별의 대부분은 온도가 높을수록 더 ... ...
국내서도 태양폭풍 오로라 포착…아름다운 붉은색 '선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적색 오로라를 관측했다. 적색광 필터로 대기광을 관측하는 TIMOS는 적색 오로라를 높은
밝기
로 관측한다. 경북 보현산천문대에 위치한 전리권·고층대기 관측 시스템(TIMOS)의 모습. 천문연 제공 또 경기 감악산에 위치한 중성자모니터에서는 우주선(Cosmic ray‧우주에서 지구로 내려오는 매우 높은 ... ...
배터리 없이도 빛나는 ‘소프트 미케노발광 복합체’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사용해 마찰전기의 크기를 조절했다. 이를 통해 마찰전기의 크기와 미케노발광의
밝기
가 관련돼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계면마찰전기 기반 교류전계발광 모델을 제안해 미케노발광 현상을 규명했다. 연구를 이끈 정순문 박사는 “이번 ... ...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안드로메다는 매우 밝은 반면 붉은 성운들은 매우 어둡기 때문에
밝기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4개월의 준비시간과 51시간의 촬영시간이 소요됐다. 천문연 제공 ● [심우주 부문] 동상 Soni Aditya Prakash의 'Phoneix of the night sky'. 갈매기 성운(IC 2177)은 개자리와 외뿔소자리 사이에서 ... ...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
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
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식물에 제 연구를 적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각 식물이 원래 갖고 있던 특성을 활용하면 기존에 본 적 없던 새로운 발광식물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