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발 박테리아·곰팡이 수백종, 일본 3km 상공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않는 실내에서 숨을 통해 유입되는 병원체보다 훨씬 약하다"며 높은 하늘에 존재하는
병원균
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doi.org/10.1073/pnas.240419112 ... ...
[의학바이오게시판] 뉴아인, ‘2024 메디테크 이노베이션 어워즈’ 수상 쾌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대상으로 한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차별화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력으로
병원균
판별·항생제 감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대병원은 이러한 정보가 실질적으로 유용한지에 대해 분석한다 ... ...
날숨으로 호흡기 질환 진단하는 '스마트 마스크'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마스크는 호흡에 담긴 다양한 물질인 호기 응축물을 냉각시켜
병원균
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마스크 전면부에 작고 가벼운 냉각 장치가 달려 있다.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진 이 냉각 장치는 친수성 고분자가 물과 만나 형성하는 하이드로젤을 증발시킨다. ... ...
고기후 연구는 인류 진화의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24.08.24
다시 빙상과 해수면 변화를 예측한다. 또한 기후변화가 야기하는 인간-생물 더 나아가
병원균
모델을 세운다. 고기후 연구가 미래 기후 예측에 큰 도움을 주는 셈이다. '미래를 알고 싶다면 과거를 보라'는 오래된 격언이 있다. 이 말이 기후모델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인터뷰를 마치며 마지막으로 ... ...
조리해도 생존…전자레인지마다 고유의 '미생물 생태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등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식품을 통해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균
일부도 가정용 전자레인지 배양액에서 나타났다. 연구팀은 "주방의 전자레인지를 자주 청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험실 전자레인지에서는 박테리아의 다양성이 가장 높았고 전자레인지의 방사선, ... ...
콧구멍 깊숙한 곳, 면역세포 키우는 '훈련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대해서는 그동안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상기도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병원균
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약 3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1년 넘게 매달 면봉으로 비인두 샘플을 채취해 시간에 따른 면역세포 집단의 변화를 확인했다. 비인두 면봉은 코로나19 검사 ... ...
10명 중 최소 2명 사망 '패혈증' 검사시간 48시간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배양 이후 실시하는
병원균
동정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 과정에 퀀타매트릭스의 신속
병원균
동정(QmapID)과 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dRAST)를 도입해 최소 24시간 걸렸던 소요시간도 6시간으로 단축했다. 패혈증 감염 의심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uRAST는 10mL 혈액으로 13시간 ... ...
박테리아에서 유전자 훔치는 동물…생존·번식 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약물 개발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았다. 항생물질은 현대 의료에서 필수적이지만
병원균
들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항생제 개발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로티퍼 DNA 코드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면 새로운 항생제 등 신약 개발에 새로운 ... ...
수컷이 면역력 더 강한 이유, '단백질 활성화'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HLH-30/TFEB는 외부 스트레스에 대응한 자가포식을 향상시켜
병원균
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는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이 수컷 선충에서 더욱 활발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면역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이번 연구는 성별에 따른 자가포식 차이가 면역력에 ... ...
독수리 사라지니 50만명 사망, 무슨 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이는 질병이 크게 퍼지는 원인이 된다. 독수리는 이렇게 방치된 가축 사체를 먹어
병원균
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인도에서 이같은 독수리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자 동물 사체가 그대로 방치돼 이곳저곳 쌓이기 시작했다. 독수리처럼 청소부 역할을 하는 쥐, 들개들이 사체를 먹는 역할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