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꾸러미
소낭
팩키
패키지
소포엽
소하물
짐짝
뉴스
"
소포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CB1, CB2와 직접 결합하지 않는다. 대신 CBD는 엔도칸나비노이드의 일종인 아난다마이드를
소포
체로 옮기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해 세포 내에 아난다마이드가 더 오래 머물도록 한다. 아난다마이드가 CB1, CB2와 결합해 작용하는 과정을 더 오래지속해 통증을 완화하거나 염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는 ... ...
뇌세포 '골지체 이온채널' 발견…"인지장애 치료 열쇠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대한 새로운 치료 표적도 제시했다. 골지체는 세포에서 우체국 역할을 한다.
소포
체로부터 합성된 지질과 단백질 등을 받아들여 가공·변형시키고 다른 세포 소기관과 세포 외부로 운송한다. 골지체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려면 이온채널 내부가 약산성(pH 6.0~6.7)이어야 한다. 약산성을 유지하지 ... ...
물 분해로 암세포 사멸 유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단백질들이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돼 손상된다. 이로 인해 세포 안에서 이를 치료하려는
소포
체에 과부하가 걸려 결국 파이롭토시스가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세포 내막계 산화에 의한 파이롭토시스 유도 도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이채헌 UNIST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병원체와 독립적으로 ... ...
간암 세포 키우는 유전물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혈액 속 엑소좀을 분석했다. 엑소좀은 세포 내에서 생성돼 외부로 방출되는 세포 외
소포
체다. 분석 결과 miR-1290가 정상인에 비해 간암 환자의 혈액에서 더 많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추후 간암을 조기 진단하거나 치료 효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miR-1290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 ...
인간 피부 흉내낸 3D 장기유사체…피부 치료제 개발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개발된 오가노이드를 통해 세포외
소포
체 내부의 생체분자를 규명하고 피부질환, 노화 예방 및 치료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고 설명했다. 이정운 선임연구원은 "3차원 피부 모델을 통해 질병, 노화 등 피부재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 ...
[과기원NOW] DGIST, 다비오와 항공·위성 영상 분석하는 인공 신경망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만나는 지점의 단백질 표지 및 분석 능력을 혁신적으로 높였다.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
소포
체 접촉 기작 관련 단백질을 식별하고 역할을 규명했다. 김기문 교수는 "세포 내 다른 소기관 간의 소통 탐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했다"며 "복잡한 세포 소기관 상호작용을 더욱 세밀하게 ... ...
귤을 많이 담으려면…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02.10
교수팀은 나노입자를 사용해 소시지 재앙 현상을 직접 실험했다. 나노입자 7개를
소포
에 집어넣어 소시지와 덩어리 모양으로 만든 모습. 흰 막대의 길이는 5um. 2·3 다익스트라 교수팀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견한 구 58개(2)와 64개(3)의 최적 배열. 살짝 잘린 정팔면체 형태로 구를 쌓으면 된다. Nature ... ...
국내 연구진, 희귀 난치 하지마비 유전자 치료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의해 발병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미토콘드리아 연결
소포
체막에 있는 ARL6IP1이 신경염증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을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 ARL6IP1이 기능을 잃어버리면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고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신경세포에 축적되면서 신경 퇴행이 발생하는 ... ...
호르몬 전달하는 세포 속 '우편배달부'도 교통체증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15
여러
소포
가 함께 긴 거리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집단 수송 방식, 수송 중인
소포
뒤에 달라붙어 함께 이동하는 히치하이킹 수송 방식 등을 통해 세포 속 정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송 전략을 갖추고 있음을 밝혀냈다. 제1저자인 박진성 연구원은 "매우 복잡하고 미시적 세계인 ... ...
도파민 분비 조절 단백질 발견...뇌질환 치료법 개발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도파민을 수송하는 ‘
소포
성 모노아민 운반수송체(VMAT2)’와 방출 가능한 시냅스로
소포
를 이동시키는 ‘시냅신Ⅲ(synapsinⅢ)’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도파민 신경세포에서 PLCγ1 유전자를 불완전하게 만든 쥐의 선조체와 측좌핵에서 도파민 분비가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도파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