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은
보답
보시
뉴스
"
수은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사라지지 않는 ‘천연 상술’
2022.04.13
제거제의 기능을 가진 생활화학제품으로 신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납·카드뮴·비소·
수은
·크로뮴(6가)과 같은 중금속이나 다이메틸퓨마레이트와 같은 유기물의 함량이 허용기준을 넘지 않는다는 사실만 확인해서 화학제품관리시스템에 신고만 하면 누구라도 천연 광물을 탈취제나 제습제로 ... ...
[탄소중립 연속기고]이산화탄소 증가, 바다도 몸살 앓는다
2022.04.10
약 두 배 정도 배출이 늘었다. 특히 2007년 이후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틸
수은
은 해양 어패류의 섭취를 통해 인체에 노출되는 유기중금속으로 과다 섭취하면 신경계 독성을 일으킨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이산화탄소의 대기 배출 증가가 예상치 못한 경로를 통해 인류의 건강과 보건에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6개 표적 물질을 동시 검출하는 종이센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그 결과 서해안 퇴적물은 산업 활동에서 폐수 형태로 직접 바다로 배출되는 인위적
수은
오염원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종합환경과학지’에 이달 25일 실린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보어 원자 모형의 지지자들
2021.12.09
해당한다. 자외선은 유리벽을 관통할 수 없기 때문에 프랑크와 헤르츠는 석영을 이용해
수은
원자가 방출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을 측정했다. 그 결과는 254nm와 일치했다. 자외선이 유리를 통과할 수 없는 이유도 프랑크-헤르츠 실험의 원리와 비슷하다.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에너지가 충분히 크기 ... ...
국내 연구진의 손길로 1초의 기준 재정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초를 만든다. 이때 광격자시계는 세슘보다 훨씬 큰 고유진동수를 가진 이터븀, 스트론듐,
수은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더 높다. 2030년경에 이를 이용해 초가 재정의될 전망이다. 2016년 이후부터 프랑스, 일본, 미국, 이탈리아이 광시계를 이용한 세계협정시 생성에 협력하고 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전통에 가까웠다. 이 사례는 산소의 발견자가 누구인가 하는 논란과도 닮은 점이 있다.
수은
재로부터 산소를 처음 분리한 것은 영국의 조지프 프리스틀리였으나 그는 이를 공기의 어떤 새로운 상태로 여겼을 뿐이었다. 프리스틀리는 여전히 전근대적인 플로지스톤의 패러다임 속에서 연소현상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상온 초전도체 시대 열릴까
2021.09.01
란타넘수소화물의 구조다. 사이언스 제공 ○ 임계온도 두 차례 양자 도약 1911년 금속
수은
이 온도가 4.2K로 내려가는 순간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체가 되는 현상(이런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을 초전도 임계온도라고 부른다)을 발견한 뒤 내로라하는 물리학자들이 이를 설명하는 이론 연구에 ... ...
노벨상 수상자 예측 ‘액체 금속 전자 구조’ 한국 물리학자들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액체 금속은 표면 도핑된 알카리 금속 원자들이다. 김근수 교수 제공. 금속이지만
수은
처럼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금속은 형태가 자유자재로 바뀌어 전자 구조를 설명하기 매우 까다롭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필립 앤더슨과 네빌 모트 등이 1960년대 이론 모델을 고안했지만 지난 ... ...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하지만 동굴 내부는 몸이 으슬으슬할 정도로 찬 공기가 맴돌았다. 동굴 속 온도계
수은
주는 9도를 가리켰다. 동굴엔 별다른 조명이 없었다. 입구에서 조금만 들어갔는데도 한 줄기 빛도 들지 않는 암흑 천지로 변했다. 백룡동굴은 남한강의 줄기인 동강 옆의 백운산 기슭 절벽에 있는 ... ...
[프리미엄 리포트]'더 작게 더 빽빽하게' 반도체 집적기술은 지금도 '진화중'
과학동아
l
2021.07.24
그린다. 이때 이용하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더 가는 회로를 만들 수 있다. 1980년대에는
수은
램프를 이용한 G-line(436nm 파장)과 I-line(365nm 파장)이란 빛을 이용했다. 이후 자외선 레이저인 플루오린화크립톤(KrF, 248nm 파장)과 플루오린화아르곤(ArF, 193nm 파장)이 개발돼 선폭을 줄이는 데 활용됐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