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흑
검음
그늘
야음
어둑어둑함
침침함
어두움
뉴스
"
어둠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으로 본 우크라이나...빛이 희미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전했다. 인접 국가인 러시아나 폴란드가 밤에 밝게 빛나는 반면 우크라이나는
어둠
속에 잠겨 있었다. 러시아의 미사일 폭격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주요 시설들이 다수 파괴됐기 때문이다. 위성 이미지 처리를 담당한 앨리너 스토크 NASA 수석과학자는 “엄청난 정전이 발생했다”며 “이 모습을 ... ...
[과찬의 말씀] 뚫리지 않는 방패, 동형암호의 '아버지'
2023.02.19
암호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발전 이면에는 언제나 암호 기술 무력화라는
어둠
이 함께하고 있다. 오늘도 소중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수많은 노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암호학의 성배인 ‘동형암호’를 기반으로 한 암호 솔루션 HEAAN(혜안)의 개발자 천정희 교수를 만났다. ○ ... ...
건강한 삶 위협하는 '빛공해' 영향 연구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교수는 “어두운 하늘을 보호하는 것이 사람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며 “빛 뿐 아니라
어둠
도 사람에게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던 교수 추정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83%가 빛 공해 영향을 받고 있다. 북미나 유럽, 영국만 놓고 보면 인구의 99%가 빛 공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추정이다. 던 교수는 ... ...
달 표면을 제 집처럼...3년 내 로버 12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개인 골프 카트형 모양의 바이퍼는 태양 전지판으로 작동하고 배터리를 사용하면 컴컴한
어둠
속에서 최대 50시간 이동한다. 임무 주기는 지구 시간으로 약 100일이다. 달 극지방의 약 93㎢에 달하는 면적을 탐사할 예정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32배다. 멕시코는 벌집 형태의 로버를 개발했다. 기존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간다 전력망 확대 효과, 위성·AI가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9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7일
어둠
이 내린 지구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아프리카 대륙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유럽 대륙 곳곳이 밝은 것과 달리 아프리카 대륙은 빛이 적다. 마샬 버크 미국 스탠퍼드대 식품안전및환경센터 교수 연구팀은 위성 이미지를 활용해 아프리카 국가인 우간다의 ... ...
강한 빛에 적응하는 눈 모사한 인공안구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문홍철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세대 제공
어둠
속에서 나와 밝은 빛을 보면 뿌옇다가 점점 밝아진다. 사람의 눈은 빛의 세기를 조절해 물체를 선명하게 인지하는 기능을 가졌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기능을 모사한 인공안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노화나 ... ...
[프리미엄 리포트] 지하 1000m 실험실에서 우주기원 밝힐 '유령' 찾는다
과학동아
l
2022.11.12
타워가 약 555m니 한국에서 제일 높은 건물을 꽂아 넣어도 약 40m가 남는 깊이다. 시커먼
어둠
이 아가리를 벌리고 있었다. 가슴이 두근거리는 와중에 무전 소리가 들려왔다. “케이지 내려갑니다.” 지하 1000m 지점에 닿기 위해선 600m 깊이를 왕복하는 수직 왕복 승강기에서 내린 뒤에도 7도 경사의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예미랩’으로 가는 엘리베이터 안. 한참을 내려가자 문이 열리고 습한 공기와 함께
어둠
이 다가왔다. 정선=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차를 타고 경사 6.8도의 길을 내려갔다. 한참을 내려가다 ‘IBS 터널’이라고 적힌 표지판 앞에 정차했다. 고도 989m의 예미산 정상을 기준으로 약 1000m 아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화...'
어둠
의 성격 특성'
2022.10.01
대응하고 있을 피해자를 지원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공간은 금새
어둠
의 성격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사냥터가 되어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규범은 말랑말랑해서 다수가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사람의 마음이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서 아프리카까지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4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어둠
이 깔리기 시작한 하늘에 한 마리의 나방이 날아가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표지 한가운데 자리잡은 것은 ‘죽음의 머리 나방(학명 Acherontia atropos)’로 불리는 나방이다. 박각시과에 속하는 생물로 무려 30여년전인 1991년 개봉해 화제가 됐던 범죄스릴러 영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