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UNIST, 코로나부터 알코올성 간질환까지 치료하는 '
억제
제' 개발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단백질이다. 이상준 교수는 “ZBP1의 과도한 염증 반응과 세포사멸을 조절할 수 있는
억제
제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인공지능(AI) 기반 가상 스크리닝을 통해 후보물질을 선별하고 세포 실험과 동물모델 실험으로 효과를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앞서 ZBP1 개발 연구 성과를 ... ...
'운동의 효과' 설명하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향상시킨다는 점을 알아냈다. CLCF1이 뼈세포에서는 뼈를 녹이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
하며 반대로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다. 나이가 들수록 근골격 노화가 일어나고 운동의 효과를 내기 위한 기준도 달라지는 이유가 몸 속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의 변화 ... ...
대장균이 식초 '소화'해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긴축 반응은 일반적으로 세포의 생장을
억제
하고 자원 소모를 줄이는 기작으로 교과서에 소개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아세트산 대사를 효율화해 오히려 생장과 생산성을 함께 높이는 반전 효과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동혁 ... ...
백혈병 환자 생존기간 늘릴 치료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막는 표적 치료제다. 베네토클락스는 CLL 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인 BCL-2를 선택적으로
억제
해 암세포 성장을 차단하는 표적 치료제다. 임상시험 결과 이브루티닙·베네토클락스 병용 투여군에서는 환자의 94%가 5년 후에도 병 진행 없이 생존했다. 이브루티닙 단독 투여군 79%, 표준 ... ...
배터리 화재 원인 '열폭주' 막을 전해질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배터리 전해질 시스템 안전성을 높여 배터리 폭발 사고의 주요 원인인 열폭주 현상을
억제
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고려대는 유승호 화공생명학과 교수팀이 인 기반의 난연성 전해질 설계 솔루션을 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월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 ...
빛 공해 제로·열 차감 ‘스마트 윈도우’ 개발…"건물·차량에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증착 기반 창호에서 문제가 됐던 외부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변색 소재를 활용해
억제
, 건물 외벽에 적용 가능한 보행자 친화형 윈도우를 구현했다. RECM 시스템은 전압 조절만으로 세 가지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모드 I(투명 모드)’은 투명한 상태로 겨울철 햇빛 유입에 적합하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툴젠, 종자개발 전문가 성동렬 부사장 영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등 기존 종양괴사인자(TNF-α)
억제
제 제품군에 이어 스테키마가 속하는 인터루킨(IL)
억제
제 시장 점유율도 점차 확대하며 자가면역질환 시장 내 영향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 ...
대장암
억제
새 단백질 기능 발견…"암세포 안에서 직접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NAG-1 단백질이 세포 밖에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내부에서도 직접적인 종양
억제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이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항암 치료제 개발과 암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꿈의 항암제 면역관문
억제
제, '키트루다 대박' 후 개발 열기 식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암세포는 면역세포와 결합함으로써 면역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면역관문
억제
제는 이 과정을 방해해 암 퇴치를 돕는다. 게티이미지 ... 장벽을 무력화하는 전략이 주목받는다. 예를 들어 T세포 수용체의 특이성을 바꾸거나
억제
회로를 우회하는 유전적 개조를 하는 방식이 주목받는다. ... ...
위·대장 내시경, 80대 이상 '무조건 검진'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검사는 79세까지 위암 사망률을 43%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80세 이상에서는 위암 사망
억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연구팀이 상한 연령 확인을 위해 1세 단위로 분석한 결과 81세부터 위 내시경 효과가 불분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가치평가를 내린 전문가들은 “80세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