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佛 인공태양 최장시간 1억℃ 달성?...“5000만℃ 운전 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프랑스 원자력및대체에너지위원회(CEA) 핵융합 실험장치 ‘WEST’가 지난 12일 5000만℃에 도달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CEA 제공. 지난 20일 프랑스에 있는 핵융합 실험장치가 1억℃에서 1337초 동안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했다는 국내 보도가 이어졌다. 확인 결과 5000만℃에서 플라즈마를 유지한 것으로 나 ... ...
"태풍 강도 예측 정확도 높일 것"…해양과기원, 로봇·무인잠수정으로 대양 누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이사부호. KIOST 제공 올해 국내 해양과학자들이 로봇과 무인잠수정을 이용해 인도양, 북서태평양의 해수면부터 해저까지 샅샅이 탐색하는 프로젝트에 나선다. 탐색 후 분석한 결과는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강도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개발 가능한 '해저열수광상'을 찾아내는 데 쓰일 ... ...
사용할수록 뼈처럼 강해지는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한미 연구진이 뼈에 힘이 가해지면 골밀도가 증가하는 원리에 작안해 사용할수록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연구를 주도한 강성훈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한미 공동연구진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뼈에 힘이 가해지면 내부의 피로부터 미네랄이 합성돼 골밀 ... ...
차세대 바닷물 전지, 값싼 목재 폐기물로 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이동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이진훈 연구원, 홍지환 연구원(제1저자), 백명진 연구원. UNIST 제공 해수전지는 바닷물에 전기를 저장하고 활용하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다. 국내 연구팀이 해수전지에 쓰이는 고가의 촉매 대신 목 ... ...
'인공태양' 핵융합로 시뮬레이션 속도 1000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케이스타(KSTAR) 프로젝트는 태양 같은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현상을 거대한 '토카막' 구조에서 인공적으로 일으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태양과 같은 별이 에너지를 내는 과정을 모사한 핵융합 발전은 '인공태양'이라고 불리며 미래 청정에너지원으로 주 ... ...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재헌·신진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이재헌 ㈜LG에너지솔루션 상무(왼쪽)와 신진오 영도산업㈜ 연구소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재헌 LG에너지솔루션 상무와 신진오 영도산업 연구소장이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025년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월 수상 ... ...
전고체전지 전해질 대량생산 공정 최적화…생산시간 7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5분의 1 정도인 700mAh(밀리암페어시) 셀에 전해질을 적용하자 상용 리튬이온전지보다 높은
에너지밀도
를 달성했다. 1000회 이상 충·방전 실험 후에도 80% 이상의 용량을 유지해 수명 안정성도 확인됐다. 하 센터장은 "이전 성과는 고체전해질 제조 방식에 공침 기술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는 데에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600km…두꺼운 고성능 배터리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전기차 보급 확대로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필요성이 커지며 배터리 용량과 직결된 전극을 최대한 두껍게 만드는 설계가 주목받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두꺼운 배터리 전극을 개발했다. 배터리 용량을 늘려 충전 1회에 600km 이상 주행하는 전기차 개발에 도움이 ... ...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KAIST 연구팀이 백금 촉매 사용량을 줄인 수전해 셀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로 사용하는 백금의 양을 기존 대비 10분의 1로 줄인 수전해 셀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상용화된 촉매 대비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갖춰 탄소 중립과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 ...
설 연휴, 층간소음을 막아줘…'데시벨 35랩'에 가다
과학동아
l
2025.01.25
과학동아 제공 '우우우우웅. 위~~~~잉. 쿵쿵쿵쿵' 1월 3일 세종 가람동 '데시벨 35랩' 2층에서 때아닌 '소음 파티'가 벌어졌습니다. 온 가족이 모여 늦은 시간까지 활동하는 명절 기간 층간소음을 상상하며 믹서기, 청소기, 스카이콩콩을 총동원해 소음을 냈습니다. 그런데 바로 아래인 1층에 설치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