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랑
표류목
뉴스
"
유목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나오는 개가 케이넌 도그의 조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즉 수렵채취인이
유목
민이 되면서 사냥개도 양치기개로 ‘직업’을 바꾼 것이라는 말이다. [그림4_사냥꾼 두 명과 사냥개 21마리] 그림4_개가 21마리나 등장하는 암각화로 아래는 원상태를 찍은 것이고 위는 파낸 부분을 흰색으로 칠해 ... ...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야영하다가 기후가 바뀌면 다시 이동하는
유목
민의 습성이 핏속에 흐르고 있지 않을까.
유목
민의 소중한 재산이자 가장 유용했던 말[馬]도 그들은 애지중지하였을 테니 그 후손들 역시 다분히 자동차에 애착하는 것이 아닐까. 실제로 야영을 즐기는 사람들의 다수는 자동차에도 관심과 욕심을 ...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우유에 포함된 젖산이라는 물질이 장에서 설사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반면
유목
생활을 하며 유제품을 주식으로 하던 민족의 게놈에는 젖산분해효소 생성 유전자가 어른이 돼도 활성화 상태로 남아있습니다. 중앙아시아지역과 몽골지역민이 대표적입니다. 폴란드나 러시아처럼 겨울에 영하 4 ... ...
폭우가 빚은 참사 ‘쓰촨성 산사태’...본격 장마철 맞는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6
수 있도록 선행 조사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산사태로 인한 토석과
유목
의 유입을 차단하는 사방댐을 지어 하류에 있는 마을이 토석류 피해를 입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현재 전국에 약 1만 여 개의 사방댐이 있다. ☞ (관련기사) 사방댐 하나가 산사태 막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육류를 얼마나 먹었는지 추정했다. 참고로 기원전 1046년 세워진 주나라는 기원전 771년
유목
민 견융의 침입을 받아 왕이 살해되는 참극이 벌어지자 수도를 호경에서 동쪽의 낙읍으로 옮겼는데 이를 분기점으로 이전을 서주(西周) 이후를 동주(東周)라고 부른다. 공자가 살았던 춘추시대 주(周 ... ...
캠핑카 타고 여행하는 사진작가
팝뉴스
l
2017.04.05
자신이 직접 경험한 아름다움들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있는 맨디는 말 그대로 21세기형
유목
민이 되어 자신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만들어가고 있는 중. 미국의 친환경 인터넷 매체 ‘트리허거’와의 인터뷰에서 그녀는 자신의 삶을 통해 다른 이들도 행복이란 무엇인지, 진정한 의미의 성공이 ... ...
빛 바랜 고대 유물, 3D 홀로그램 영상으로 살아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7
6세기경 마한의 금동신발을 3차원(3D) 홀로그램 영상으로 복원한 모습. 밑바닥에 장식으로 새겨져 있던 물고기도 움직인다. 전남 나주시 국 ... 변한과 함께 삼한으로 불린 마한은 54개 부족국가가 연합을 이룬 정치 공동체였으나 북방계
유목
민을 중심으로 영역을 확장하던 백제에 흡수됐다. ... ...
해변으로 밀려온 “심해의 괴물”
팝뉴스
l
2016.12.12
“미지의 심해 생명체” 등이다. 과학적인 설명은 조금 싱겁다. 떠돌아다니는 나무 즉
유목
에 수천 개의 삿갓조개들이 붙어서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사진은 무섭다. 자세히 보면 검고 긴 털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최근 있었던 뉴질랜드 대지진 때문에 뭍으로 밀려 왔을 ... ...
집에서 간편하게 리코타치즈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10.23
더 단단하게 굳히기 위해 ‘키모신’이라는 효소를 넣기도 해요. 약 5000년 전 중앙아시아
유목
민들이 발견한 것도 키모신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키모신은 소나 양, 염소의 위장에서 나오는 단백질 소화효소예요. 키모신은 우유단백질 중 한 종류, 즉 카파 카세인 단백질만 공격해 잘라낸답니다. 이 ... ...
운명적인 장소
2016.09.24
범위가 그들의 생활공간이자 터전이다. 농경 사회를 이룬 우리 조상들의 활동 범위는
유목
민에 비하면 훨씬 협소하다. 1950년대 말에 별세하신, 대전에서 평생을 가난한 소작농으로 사셨다는 나의 조부께서 일생 동안 가장 먼 길을 가보셨다는 곳이 고작 지금의 대청호수 아래에 잠긴 충북 문의(文義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