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뉴스
"
의외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성질을 웃도는 성질이 나타날 수도 있고 정반대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며 “이런
의외
성과 조합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다는 점이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의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먼저 다른 다공성 물질을 MOF 입자 사이에 결합해 전체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물 분자를 쉽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곁에 있으면 덜 아픈 이유
2020.10.31
신체적 통증을 담당하는 뇌 부위들이 활성화), 이렇게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고통 사이에
의외
의 긴밀한 관계가 있어서 ‘타이레놀‘ 같은 진통제를 먹음으로써 외로움도 다소 줄일 수 있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이 외에도 얼음 물에 손을 오래 넣고 버티는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누군가의 손을 잡고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이번 수상자와 독립적으로 관련 연구를 수행했음에도 이번 수상자 명단에 들지 않아
의외
라는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3세대라고 불리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이전에 처음 유전자가위를 창안했던 연구자들이 빠진 사실을 지적하기도 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이 언급한 비르기니우스 식스니스 교수는 ...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가장 상세한 모습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이끈 김재영 연구원은 “가장 선명한 영상으로 제트가 형성되는 지역을 확인한 결과 (
의외
의) 수직 구조를 발견했다”며 “러시아 인형(마트료시카)를 열었는데 안에서 전혀 다른 형태를 발견한 것과 비슷한 발견”이라고 말했다. 가장 자세히 관측한 4월 11일 영상의 제트 부분에서 6개 지점을 ... ...
“여성들이여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지금 해결 못 하는’ 것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01.17
폭넓게 쓰이며 2019년 노벨화학상까지 수상한 배터리 분야 연구자의 말 치곤
의외
였다. 윤 책임연구원은 15년 전 대학에서 화학공학을 공부하던 시절 책에서만 보던 수소자동차가 지금은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시대가 된 것을 예로 들었다. 윤 책임연구원은 “현재 유망한 기술로 꼽히는 인공지능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뜨거운 물을 뿌렸을 때 더 빨리 얼어붙는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그리고 이런
의외
의 현상을 ‘음펨바 효과’라고 부른다. 음펨바 효과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1963년 이 현상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당시 탄자니아의 한 중학교를 다니던 에라스토 음펨바라는 학생이기 때문이다. 음펨바는 ... ...
쥴·KT&G, '폐손상 의심물질' 검출에 "안 썼는데…" 당혹
연합뉴스
l
2019.12.13
업계 관계자는 "성분 분석을 통해 유해 물질이 없다는 점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했는데
의외
의 결과가 나왔다"며 "유해 성분을 사용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 하루빨리 소명이 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 ...
알파고 잡은 신의 한 수…'은퇴' 이세돌 "꼼수였죠"
연합뉴스
l
2019.11.27
인간에게 희망을 안긴 '신의 한 수'였다. 그런데 이세돌은 78수에 대해 "꼼수죠, 뭐"라며
의외
의 답변을 했다. 이세돌은 "정확히 받으면 안 되는 수였다. 지금도 '절예'(중국의 바둑AI)에서 그런 버그(오류)가 일어난다. 절예가 사람에게 두 점 바둑에서 잘 안 지는데, 질 때는 묘하게 진다. 버그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발표를 앞둔 사람에게 도움될 조언 아홉가지
2019.11.09
행동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는 얘기다. 당분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또 다른
의외
의 요소는 바로 ‘당분’이다. 인간은 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특히 우리의 ‘뇌’는 몸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2/3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복잡한 문제를 풀거나 진땀나는 사람을 상대하느라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
2019.10.27
단백질 고기는 인류가 가장 좋아하는 식재료 중 하나다. 하지만 현대인은 ‘
의외
로’ 고기를 많이 먹지 않는다. 2006년 미국 농림부 조사에 따르면 전체 칼로리의 약 16%가 육류인데, 이는 수렵채집인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호주 아보리진은 대략 77%의 칼로리를 고기로 채우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