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성
자의식
자각
자기성찰
반성
자기반성
사상 내성
뉴스
"
자성
"(으)로 총 314건 검색되었습니다.
'앗 뜨거워' 전자기기 발열 문제 해결할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엔진의 열을 식히는 라디에이터 핀(fin)에서 착안해 새로운 접근방식을 개발했다.
자성
을 가진 절연체 박막 한쪽 끝에 나노미터 규모의 금 구조물을 추가하고 금 구조물 함량에 따라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도록 설계했다. 이 금 구조물은 해당 위치에 있는 스핀파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물질 ... ...
없던 모성본능까지 만든다…나노가 바꿀 미래의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삽입하는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고 뇌 세포를 선택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없다. 연구단은
자성
나노입자가 타깃 부위만 선택적으로 활성화해 식욕이나 모성애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타깃 뇌 회로에서 ‘나노-자기수용체’를 생성시키고 회전자기장을 가해 뇌 회로가 제어되도록 ... ...
전기차, 달리면서 충전한다…무선 충전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개발했다. 이를 통해 전기차 전력 전달 효율을 최대 90%까지 끌어올렸다. 기존 기술은 강
자성
체를 사용해 효율을 높이려 했으나 높은 가격과 약한 내구성 문제로 실제 적용이 어려웠다. 연구를 이끈 변영재 교수는 “전기차를 비롯한 운송수단은 평행 방향뿐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유연하게 ... ...
KIST 유럽硏 "유럽과의 국제협력 위한 '경부고속도로' 될 것"
2024.08.05
감소했다. 김수현 KIST 유럽연구소장은 "연구소의 존재가치에 대한 고민을 해야한다는
자성
의 목소리가 내부에서 나왔다"며 "연구소가 맡을 수 있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고민이 커졌다"고 말했다. 그러던 중 때마침 한국의 호라이즌유럽 프로젝트 참여 소식이 들렸다. 호라이즌 유럽은 유럽연합(EU ... ...
유상임 과기부 장관 후보자, 과거 부실학회 투고로 서울대서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유 후보자는 2017년 11월 부실학회로 알려진 와셋이 일본에서 개최한 학술대회인 '자기 및
자성
체 국제 콘퍼런스'에 제자 2명과 수행한 연구 논문 초록을 발표했다. 부실학회는 형식만 학회고 실제로는 영리를 추구하는 단체다. 와셋과 오믹스(Omics)가 대표적인 부실학회 운영 단체다. 동료 검증이나 ... ...
'물리학 109년 난제' 풀었다…미시세계 변화, 거시세계에 전달되는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거시세계 물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연구팀은 물질의
자성
특성을 펨토초(fs,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추적할 수 있는 초강력 레이저를 활용해 전체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고체 입자의 스핀 변화로 생긴 각운동량 변화가 카이랄 열포논을 통해 인접한 ... ...
식욕·감정도 억제…세계 최초 자기장으로 뇌 회로 자유자재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것은 어려웠다. 나노-MIND 기술로 특정 뇌 회로를 활성화하는 과정. IBS 제공 연구팀은
자성
을 띠는 나노 입자를 이용해 쥐의 뇌 회로에 나노-자기수용체를 생성시켰다. 원하는 시점에 자기장 자극을 주면 뇌 회로의 시공간적 제어가 가능하다는 원리다. 쥐의 모성애를 담당하는 전시각중추 뇌 회로를 ... ...
전류 대신 압력으로 '위상
자성
반도체' 물성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위상 전자 상태를 조절하고 독특한 스핀 물성 변화를 직접 관측한 것은 최초"라며 "위상
자성
물질의 전자기 물성 제어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467-024-48432- ... ...
'전자 스핀' 활용하는 차세대 메모리, 원자 구조 조절해 효율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자화 전환(switching)에 성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대수 교수는 "비대칭 SrRuO3는 강
자성
과 스핀 홀 효과 간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 플랫폼"이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새로운 SOT 메커니즘을 발견하고 고효율 소재를 구현하겠다"고 전했다. - doi.org/10.1021/acs.nanolett.4c0178 ... ...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발열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점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nPS3(삼황화린망간)와 같이 벌집 격자를 이루는 2차원 반강
자성
체에서 강한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 나타난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이는 마그논을 이용해 스핀트로닉스와 오비트로닉스를 발열 문제 없이 구현하도록 한다. 김 교수는 "마그논 오비탈과 그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