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노상
땅껍질
기반
기틀
터전
지각
뉴스
"
지반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씨즈숏다큐] ①1년에 8cm 가라앉는 '자카르타' 가보니
2023.12.03
3~4m 낮아졌다. 어른 두 명의 키만큼 땅이 가라앉은 셈이다.(doi: 10.1088/1755-1315/106/1/012006)
지반
침하는 지금도 여전하다. 예전보다 속도는 느려졌지만 해마다 최대 8cm씩 가라앉고 있다.(doi: 10.1088/1755-1315/1109/1/012022) 기후위기도 도시가 잠기는 속도를 높인다. 해수면 상승은 점점 빨라졌고 단시간에 ... ...
드론으로 통신재난지역 긴급복구 신속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드론 활용 사례를 참고해 실시됐다. 훈련에서는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와
지반
침하 등으로 인력과 장비 진입이 어려운 지역에서 드론으로 현장을 복구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드론은 통신케이블 인계선을 사고구간 횡단비행을 통해 전달해 통신케이블을 견인하고 포설했다. 이를 통해 ... ...
잼버리 열렸던 '새만금'에 폭염·모기가 기승을 부린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30
석회 등의 물질을 더해 흙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거나 흙에 있는 물을 빼내
지반
을 단단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 수라 갯벌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저어새들. 오동림 제공 새만금 간척지에는 아직 매립이 되지 않은 ... ...
4~6월 동해지진 104건 진원은 17~19km 깊이…"내륙지진보다 더 깊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7.19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연속적인 지진의 원인은 지구 내부의 운동과
지반
단층의 상호작용으로 추정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2022년 10월 29일 규모 4.1의 괴산 지진과 올 2월 규모 6.4의 튀르키예지진으로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동해 ... ...
3일까지 폭염…4~5일 전국 장맛비 내리며 더위 꺾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7.03
폭염과 소나기가 오겠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미 많은 비가 내려
지반
이 악화된 상황으로 추가로 오는 많은 비에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 2~3일 한반도 주변 기압계. 기상청 ... ...
29일 전국에 ‘강한 비’···침수피해 대비 각별한 주의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6.28
산사태에 대비하는 등 안전사고에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 특히 이미 많은 비가 내려
지반
이 약해진 곳은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의 강수 모식도를 살펴보면 29일에는 정체전선상에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중부지방부터 비가 시작될 전망이다. 30일에는 ... ...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복원 기술 지원한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8
있다. 특히
지반
조사를 바탕으로 복원공사 완료 후 구조물이 다시 침하하지 않도록
지반
다짐 방법을 제시, 복원공사를 기술적으로 지원했다. 또 캄보디아 압사라청(APSARA) 및 산하기관 직원 15명을 대상으로 지난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캄보디아 현지에서 복원 사업에 필요한 역량강화 기술 ... ...
지반
·구조물 붕괴 조짐 보이면 반딧불처럼 반짝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전문가용이라는 단점 때문에 활용도가 높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반딧불 센서는
지반
의 이동을 LED 경보로 나타낼 수 있는 센서다. 붕괴가 우려되는 다양한 위험 구역에 1m~2m 간격으로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산림청의 사면 붕괴 지중경사계 일변위 기준인 0.05도보다 더 정밀한 0.03도 ... ...
"韓 최초 달 탐사 로버는 우리 손으로"...'무인탐사연구소' 공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바퀴 형상은 로버의 주행 성능을 결정한다. 울퉁불퉁한 달의 지면, 지구와는 다른 바퀴와
지반
간의 상호작용 등을 모두 따져야 한다. 부가적으로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300도에 이르거나 대기층이 없어 운석이 곧바로 달 표면에 떨어지는 등 극한의 조건을 바퀴가 견뎌야 한다. 처음 만들었던 ... ...
7800km 떨어진 튀르키예 강진, 한국 지하수 수위 변화 일으켰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4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7800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튀르키예 강진이 한국
지반
뿐만 아니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수위 변화는 지중환경에 방사성폐기물 등 오염 확산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수형 책임연구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