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텔리
지식층
지식계급
학자
지자
문화인
식자
뉴스
"
지식인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또 불평등과 경쟁으로 교란된 과학생태계에서, 과학자는 사회적인 책임을 완수하는
지식인
이 아니라, 이기적인 욕망의 노예로 전락할 수 있다. 그건 한 국가가 감수해야 하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의 계층화 그리고 과학계의 마피아들 픽사베이 제공 박희제 교수와 김명심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
2021.02.25
교육의 혁신일 것이다. 하지만 교육의 변화를 능력주의 사회의 대안이라고 주장하는
지식인
들은 처참한 현실을 몇 십년 동안 참고 견디라고 주장하는 셈이기도 하다. 교육은 능력주의 신화 해체의 궁극적 목표일뿐, 궁극적 대안이 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교육이라는 체제 또한 능력주의 사회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화학을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도전을 즐기는 과학자였고, 당시로서는 가장 최신의
지식인
컴퓨터 알고리듬을 공부하기 위해 IBM 왓슨 연구소에서 1년간 연구를 수행한 경험도 있었다. 그 곳에서 그는 천공기로 작동하던 컴퓨터를 통해 작은 분자의 공명 에너지를 계산해 화학분야에 큰 업적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호이겐스의 당시 발언을 그대로 21세기로 가져와 가치절하하는건 결코 역사를 아는
지식인
의 자세가 아니다. 장하석 교수에게 데카르트의 확실성 추구의 맥락을 다룬 스티븐 툴민의 책 《코스모폴리스》를 권한다. -프리스틀리에 관해선 다음 글을 참고할 것. https://m.blog.naver.com/kbs4547/220740100802 ... ...
[사이언스N사피엔스]과학혁명의 배경
2020.02.06
축적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로 무장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이들과 전통적인
지식인
들이 상호접근하면서 지식 세계의 새로운 지형을 이루었다고는 것이다. 요컨대 17세기 과학혁명은 16세기 문화혁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논리이다. 과학혁명의 넷째 배경을 꼽자면 새로운 사유방식의 ... ...
과학 유튜버가 대중과 소통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각각 20분씩 주제 발표에 나선다. 1분과학은 구독자수가 61만명, 과학쿠키는 24만명,
지식인
미나니는 10만명에 이르는 인기 유튜브 채널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대중과 어떻게 소통을 하는지 각자 노하우를 소개한다. 이어지는 토크콘서트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의 패널 토의와 함께 질의 응답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갈릴레오와 가까운 사이였고 갈릴레오가 자신의 저택에 머무는 동안 각지의
지식인
들을 초청해 서로 교류할 수 있게 해주었다. 덕분에 갈릴레오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원기를 회복할 수 있었다. 갈릴레오는 피렌체의 자택이 있는 아르체트리로 돌아갔다. 이듬해인 1634년 가을부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책의 일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에 출간한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유럽
지식인
사회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그러나 망원경을 이용한 갈릴레이의 놀라운 발견을 모두가 곧이곧대로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일단 눈과 물체 사이에 뭔가가 가로막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맘에 들지 않아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알려졌다. 투유유가 처음 532 임무에 배치되었을 때, 남편은 시골로 하방되어 있었다.
지식인
을 강제로 시골 벽지로 보낸 후 육체노동을 시키는 정책이었다. 지금은 중국의 주석이 된 시진핑도 당시 16세의 나이로 하방되어 토굴에서 생활했다. 천만다행으로 투유유는 비밀 임무에 투입된 덕분에 ... ...
"연구실 연구윤리 실체는"...브릭, 이공계 대학원생 설문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투자한다”며 “대학원생이 입학한 목적에 맞게 성장하고 대학원이 사회에 필요한
지식인
을 충실히 길러내야 본연의 기능을 잘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원 생활의 다양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고 대학원이 본연의 기능을 잘 수행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