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frame
모형
틀거
틀
프래임
뉴스
"
프레임
"(으)로 총 301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잡한 공공정책 의사결정, AI가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ETRI 연구팀이 AI정책지능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해외 연구팀과 협력해 정부 공공정책 집행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인공지능(AI)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 활용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장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정책 의사결정
프레임
워크 개요. ETRI ... ...
범죄 동영상 분석…인공지능은 최고의 동료이자 최악의 적
과학동아
l
2024.06.29
사람의 눈으로도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숫자까지도 읽을 수 있다. 이외에도 AI는 영상의
프레임
을 각각 분석해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영상 또는 사진의 화질을 높이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약한다. 그러나 AI를 악용한 범죄도 있다. AI를 이용한 이미지 합성기술, 딥페이크를 이용해 유명 ... ...
나라스페이스, IPEF 100대 기후 스타트업 선정…우주 기업으론 유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나라스페이스)'가 한미일 등 14개국의 경제 협력체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
워크(IPEF)'가 뽑은 유망한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선정됐다. 나라스페이스는 5~6일 IPEF가 싱가포르에서 '청정경제 투자자 포럼'을 열고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청정경제 투자자 포럼이란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율주행 차량 위한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인식하는 기능을 병렬로 처리해 비전 칩을 설계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칩은 1초에 1만
프레임
을 인식할 수 있었다. 번개를 포착할 수 있는 수준이다. 또 같은 해상도를 지닌 기존 센서와 비교했을 때 필요한 대역폭이 90% 감소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시각 정보를 인식했다. 티안무크를 ... ...
자율주행차 돌발사고 줄일까…과학자들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처리에 필요한 연산 능력 요구량은 기존 컬러 카메라 수준이었다. 연구팀은 "카메라
프레임
사이에 등장하는 다른 자동차와 보행자를 효과적으로 감지한다"며 "특히 속도가 빠른 상황에서 성능 차이가 크다"고 밝혔다. ... ...
동물 행동과 움직임 정확히 분석하는 AI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개입을 최소화하면서도 동물의 복잡한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행동 분석
프레임
워크를 개발했다”라며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행동을 인지하는 뇌의 원리를 더 깊게 이해하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진은 섭틀의 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 ...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
과학동아
l
2024.04.27
복원해도 사건 발생 현장을 볼 수 있으니 의미가 있는데 음성의 경우 1초도 안 되는 한
프레임
의 음성 데이터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어' '가' 등 음절일 뿐이다. 영상에는 화면에 시간 정보가 기록되지만 음성엔 그런 정보가 없다는 단점도 있다. "블랙박스에 녹음된 음성 파일을 복원한 적이 ... ...
로봇은 왜 동물보다 빨리 달리지 못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더 잘 통합해 활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로봇도 동물처럼 로봇의 전체
프레임
에 동력, 감지, 제어 등의 기능을 분배하면 로봇의 자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등 로봇이 동물을 이기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안했다. 로봇이 동물보다 빠르게 달릴 수 있을지에 ... ...
"고령화 진행되는 지역, 기후변화에 취약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적응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원격 탐사(리모트센싱) 기술과 ‘이중차분법
프레임
워크’를 사용해 고령 인구와 공원, 산림, 수역 등과 같은 녹색사회기반시설(그린 인프라) 변화 패턴 간의 시공간적 관계를 확인했다. 분석 결과 고령 인구가 증가한 커뮤니티에서는 그린 인프라의 공급이 ... ...
"게임 금수저 있다?…시간당 인지하는 시각정보량 사람마다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우리는 보통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 인간이 1초에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최대
프레임
수'보다 빠르게 깜빡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시각의 '시간적 해상도'라고 정의하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 실험 참가자들이 깜빡이는 광원을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를 측정했다. 광원이 1초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