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쩍임
빛남
섬광
미광
뉴스
"
희미한 빛
"(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도전 과제는 암흑에너지와 우주 전체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사용하던 것인데 2011년 기증받은 것이다. 항성의
빛
을 가리며 주변에 있는
희미한
빛
을 측정하는 장치인 코로나그래프계측기(CGI) 등 우주 관측에 필요한 부품을 장착하며 연구용으로 개조됐다. 거울의 지름은 2.4m로 허블과 같지만 광시야계측기가 달려있어 3억픽셀의 고해상도 사진 촬영이 ... ...
우주 너머의
희미한
빛
에서 별 탄생과 죽음, 물 존재를 포착하다
2022.07.13
인류는 135억 년 전으로 추정되는 ‘태초의
빛
’ 생성 과정을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사진에 담긴 휘어지고
희미한
빛
들에는 우리가 간절히 알고 싶어 하던 우주 탄생의 비밀이 있다. 인류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크고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첫 총천연색 관측 ... ...
[제임스웹 첫 영상공개]제임스웹은 어떤 우주망원경인가
2022.07.12
분리되면 접었던 부분을 펼친다. 태양열과
빛
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패막은 가로 21m, 세로 1 ... 개발된 우주망원경 중 가장 크다. 그만큼
희미한
빛
도 잘 포착할 수 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우주 형성 초기 일어났던 일들을 관찰하는 것이 주 임무다. 허블보다 약 100배 강력한 성능을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제임스웹의 후속 우주망원경들
과학동아
l
2022.07.12
장착하며 연구용으로 개조됐다. CGI는 항성의
빛
을 가리며 주변에 있는
희미한
빛
을 측정하는 장치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적외선광각우주망원경(WFIRST)’이다. WFIRST는 허블우주망원경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도록 뛰어난 분해능과 넓은 시야를 동시에 갖췄다. 거울의 지름은 2.4m로 허블과 ... ...
웹 망원경 돕는 유도센서 이미지마저 "가장 깊은 우주" 포착
연합뉴스
l
2022.07.08
2일 '첫
빛
' 이미지 공개 앞두고 예고편격 '맛보기' 선보여 ... 비롯된 것이다. 별 뒤로 배경을 채우고 있는
빛
은 은하가 포착된 것이다.
희미한
천체를 잡아내도록 최적화하지 않았음에도 극도로
희미한
천체까지 포함돼 가장 깊은 적외선 이미지 중 하나가 됐다. 지난 5월 초 8일간 32시간에 걸친 ... ...
'지름 136km' 역대 가장 큰 혜성 태양계로 접근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어렵다. 연구팀은 허블이 촬영한 사진에서 밝은
빛
을 내는 지점을 특정한 후 전파 관측에서 알아낸 ... 빠져나갈 것으로 예측됐다. C/2014 UN271은 0.5광년(
빛
이 1년을 가는 거리, 1광년은 약 9조4600억 km) ... 태양계의 더 먼 부분에서 볼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한
수많은 혜성 중 빙산의 일각”이라며 “항상 이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천체'라는 뜻의 카모 오알레와가 반사하는 태양
빛
을 분석한 결과, 달에서 가져온 월석과 일치하는 ...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카모 오알레와의
빛
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희미한
별의 400만분의 1에 불과하고 크기도 워낙 작은데다 궤도상 매년 4월 몇 주간만 고성능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 ...
태양계 50억년 뒤 '미래'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10.14
2010-BLG-477Lb로 명명된 목성급 행성은 중력으로 별
빛
이 굴절되는 현상을 통해 처음 발견됐으며, ... 관측한 끝에 약 2.8 AU(1 AU=태양~지구) 거리를 두고
희미한
빛
만 가진 백색왜성을 돌고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런 결과는 태양계의 먼 미래를 제시해 주는 것으로, 별이 생을 다 해도 생명체가 ... ...
D-60, 15년 미뤄진 인류 최대 우주망원경 마침내 발사장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여겨진다. 거울 여러 개를 이어 붙인 것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나오는
희미한
빛
을 최대한 끌어 모아 관측 능력을 최대치로 올리기 위해서다. NASA는 내년 7월 JWST의 첫 번째 관측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JWST에는 분광계를 결합한 특수 카메라가 달려 있고, 이 카메라는 목성의 ... ...
태양계 가장 큰 달 '가니메데' 20여년만에 찍은 근접 사진 공개
연합뉴스
l
2021.06.09
컬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SRU는 태양
빛
을 직접 받지는 못하고 목성에 반사된
희미한
빛
이 스며드는 위성의 뒷면을 흑백으로 촬영했다. [NASA/JPL-Caltech/Sw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주노캠 이미지는 픽셀당 1㎞, SRU는 픽셀당 600~900m의 해상도를 갖고있다. 주노 프로젝트 책임연구원인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