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hort"(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2020.04.09
- J. R. (2019). bioRxiv: the preprint server for biology. BioRxiv, 833400. Roes, H. (1996). Electronic journals: A short history and recent developments. Trabajo presentado en International Summer School on the Digital Library, Tilburg, Holanda. Consultado el, 15. Carriveau Jr, K. L. (2001). A brief history of e-prints and the opportunities they open for science librarians. Science & Technology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이 일을 상습적으로 미루는 이유2019.10.12
- 있으면 좋을 거 같다. 참고자료 Sirois, F., & Pychyl, T. (2013). Procrastination and the priority of short‐term mood regulation: Consequences for future sel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7, 115-127.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 ...
- [주말N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2019.10.05
- 루비브, 플로린 마네아, 디르크 노보트카, 제프리 샬릿 《Rollercoasters : long sequences without short runs》 ※필자소개 엄상일 교수.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출처 Owenz, M., & Fowers, B. J. (2018). Perceived post-traumatic growth may not reflect actual positive change: A short-term prospective study of relationship dissoluti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0265407518811662. Ruttan, R. L., McDonnell, M. H., & Nordgren, L. F. (2015). Having “been there” doesn’t mean I care: When prior experience reduces compassion for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2018.11.25
- 변이(CNV, copy number variation), 단일 염기 다형성(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연쇄반복(STR, short tandem repeat) 등이 있습니다. 하나같이 우리 말이 더 어렵습니다. 아무튼 각 변이는 조금씩 개념이 다르지만, 간단히 말하면 사람에 따라서 유전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다르다’는 정도로 생각하면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완성형… ‘월-E’동아사이언스 l2018.06.18
- 달고 있는 디자인은 과거에도 자주 쓰였다. 1986년 개봉됐던 영화 ‘죠니5 파괴 작전(원제 Short circuit)’에 비슷한 디자인의 로봇이 등장한 바 있다. 이 영화에서 죠니5는 군사용 로봇으로 등장한다. 만화가 고유성 작가는 이 영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무적로봇 콩’이라는 비슷한 디자인의 로봇을 ...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100~150쌍 정도 단위로 조각내서 읽은 뒤 다시 이어 본래 염기 서열을 확인하는 쇼트 리드(short read) 방식이다. 유전체 해독 기술 기업 일루미나가 ‘노바식 6000’ 같은 기기를 내세워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쇼트 리드 방식은 중복 서열을 제대로 판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인간의 DNA는 30억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of Psychology, 53, 109-132. Harackiewicz, J. M., Barron, K. E., Tauer, J. M., Carter, S. M., & Elliot, A. J. (2000). Short-term and long-term consequences of achievement goals: Predicting interest and performance over tim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316-330.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 ...
- “먼 곳의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김정리 한국천문연구원 리더급우수과학자 인터뷰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하나인 킬로노바는 2010년 논문에서 처음 용어가 등장했다. 이 현상과 ‘짧은 감마선 폭발(short gamma ray burst)’은 중성자별 충돌 고유의 현상으로 예측돼 왔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관측된 것인가? 킬로노바는 이전에도 관측 사진이 있긴 했는데? >>> 감마선 폭발 중 감마선 섬광 방출이 2초 이내로 짧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씀)’라고 불렀다. 그리고 주기가 상실된 변이체를 per0, 주기가 짧아진 변이체를 pers(short의 s), 주기가 길어진 변이체를 perl(long의 l)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per0는 중간에 종결코돈으로 바뀌면서 토막 나 기능을 잃은 단백질이 만들어진 결과이고 pers와 perl는 중간에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뀌면서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