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규제"(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2024.07.03
- 수학까지의 교육과정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공교육 현장에서의 선행학습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공교육정상화법'도 사교육 시장에게는 무용지물이다. 지난 2월 정부가 아무런 '과학적 근거'도 없이 무작정 밀어붙인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이 학부모의 얄팍한 주머니를 노리는 '사교육 카르텔'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2024.05.08
- '지시'한 것은 명백하게 한계를 넘어선 것이다. 모두가 듣도 보도 못한 교육부의 새로운 규제가 만들어내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2024.04.03
-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식품회사가 홍국균의 붉은 색소를 쓸 수 없게 규제하는 배경이다. 홍국균은 이차대사산물로 신장독성이 있는 곰팡이독소인 시트리닌(아래)을 만든다. 한편 누룩곰팡이속과 푸른곰팡이속의 몇몇 종은 강력한 신장독성이 있는 오크라톡신A(위)도 만들 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2024.01.17
- 볼썽사나운 것이다. 불소에 대한 무분별한 거부증에서 시작된 불필요하고 불합리한 규제는 과감하게 철혜하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2023.10.25
- 결국 1972년 스톡홀름 회의에서 환경 잔류 가능성이 큰 DDT를 비롯한 유기농약에 대한 규제가 시작됐다. 우리도 1971년부터 DDT를 농약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했고 1979년부터는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DDT의 사용이 금지되면서 빈대‧이‧벼룩의 퇴치가 어려워졌다. 다행히 열에 약한 특성을 가진 ...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 연구 주제 중 인간의 생명과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위들을 조심스럽게 규제하려는 이유도 모든 인간은 소중하며 자칫하면 그 존엄성이 깨지는 것을 막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삶이 동등하게 귀중하다는 생각은 우리 유전자 안에 없을 확률이 훨씬 높다. 인간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2023.06.07
- 상실해버린 교육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교육개혁의 파고도 심상치 않다. ‘대학규제 제로화’를 핑계로 지방대학의 관리를 포기해버리는 ‘라이즈 사업’과 정체도 알 수 없고, 예산도 확보하지 못한 ‘글로컬대학 사업’은 사실상 대학 해체 작업에 가까운 것이다. 30년 전 어설픈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해야2023.05.23
- 노력을 해야 한다. 유해물질에 대한 화학적‧생리학적 이해가 턱없이 부족한 환경부의 규제는 국민적 신뢰를 얻을 수 없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실내에서는 방향제도 경계해야 우리의 폐는 호흡으로 들이마시는 공기에 들어있는 박테리아(세균)‧바이러스‧유해물질‧먼지에 고스란히 ... ...
- [과학게시판] 원안위-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양자회의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4.26
- 원안위는 "양국은 중대사고 관리, 경년열화(부식), 해체, 위험도 정보 활용 원전 규제 감독 체계 등 4개 분야 실무진 워킹그룹을 구성해 협력을 이어왔다"고 설명했다. 임승철 사무처장은 "이번 회의는 실무진이 충분히 논의할 수 있도록 새로운 운영방식을 시도한 첫 회의"라며 "의미 있고 생산적인 ...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尹 대통령 "원전·수소 비중 높이고 CCUS 기술혁신 속도"동아사이언스 l2023.04.21
- 있다. SMR을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로 선정하고 올해부터 6년 간 총 3992억원을 투입한다. 규제 측면의 안전성을 고려한 설계 가이드라인도 지난 18일 첫 공개되는 등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소 분야는 온실가스가 다량 발생하는 ‘그레이 수소’에서 ‘그린수소’로 전화하는 연구에 집중된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