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스페셜
"
꽃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학습으로 전수되는 꿀벌의 8자 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하지만 춤의 정교함이 부족했다. 연구팀은 “성체로부터 배우지 못한 꿀벌들의 8자 춤은
꽃
의 거리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에서 많은 오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태어난 직후 춤을 배우지 못한 꿀벌들은 나중에 다른 꿀벌이 춤을 추는 모습을 보며 재학습을 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 ...
[표지로 읽는 과학] 특정 유전자가 만들어낸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2.12
물꽈리아재비는 위쪽
꽃
잎은 완전히 흰색이지만 아래쪽
꽃
잎에는 색이 있다. 어떻게
꽃
의 특정 부분에서만 색소를 억제하는지 연구 중이다. 위안 교수는 "우리는 진화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진화는 예측할 수 없다"고 밝혔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6일 뒤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2.08.27
받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반응이다. 씨앗을 심고 20일 뒤, 연구팀은 식물이
꽃
을 피우기 직전 잎과 줄기를 수확했다. 이를 토대로 RNA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겉흙에서 자란 애기장대가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 또는 염분이나 중금속이 다량으로 함유된 토양 환경에서 성장할 때와 유사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재조명받는 후각 연구
2022.08.09
겔랑이 만든 향수로,
꽃
향기가 깔려있는 나무향의 우아함이 일품이다(보통 여성 향수는
꽃
향기에 나무향이 깔려 있다). 이처럼 샌들우드가 귀한 향료이다 보니 남벌이 일어났고 결국 멸종을 우려한 인도 정부가 벌채를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하는 샌들우드에서 얻은 ... ...
[표지로 읽는 과학]바다에서 발견된 수분매개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동물매개 수분의 다양성과 역사를 확장했다고 평가했다. 곤충의 수분 작용은 육상
꽃
식물에서 가장 흔한 번식 전략이지만 해양 식물에겐 해당하지 않았다. 꿀벌 등 곤충에 의한 동물 수분은 속씨식물의 지배적인 전략이다. 바닷속 홍조류의 경우 이전까지 물의 흐름을 이용해 자신의 ... ...
'바다의 꿀벌' 갑각류는 해조류의 '
꽃
가루' 나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다양한 홍조류는 다른 조류와 달리 정자에 편모가 발달하지 않아 운동성이 없고, 마치
꽃
가루 알갱이처럼 생겼다. 즉, 홍조류가 유성 생식을 하려면 정자를 옮기기 위한 물의 흐름이나 수분매개자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유럽의 조수 웅덩이에서 수년 간 그라실라리아 그라실리스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많이 파괴되면서 엽록소가 부족해 노란색을 띠는 것으로 보인다. 꼬투리의 모양과
꽃
의 위치와 관련된 유전자의 실체는 각각 두 유전자 자리가 있음에도 아직 밝히지 못한 상태다. 유전자 규명의 관점에서 멘델의 유전학은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라는 말이다. 7가지 형질에 관여하는 멘델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에 적응하는 식물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8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식물들은 극한 고도에 적응하면서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꽃
을 피우는 속씨식물들은 해발 6400m 높이까지 적응하며 자라기도 한다. 마이클 홀스워스 영국 노팅엄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15일 식물이 극한 고도에 적응하기 위해 산소의 대기 중 비율을 나타내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패권’ 대신 ‘진실과 자유’를 지향하는 과학기술
2022.06.08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이 천부적인 인권을 가진 평등한 존재라는 진정한 민주주의가
꽃
을 피우게 된 것도 과학정신에 의해서 실현된 근대적 과학기술 혁신의 결과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천부적인 인권을 가진 존재로 자유와 평등, 그리고 민주적 사회 참여를 보장 받아야 한다는 현대적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버틴 원석조류의 숨은 복원력
동아사이언스
l
2022.05.22
발표했다. 약 1억 8300만년전 백악기 지구 온난가 발생했을 당시 퇴적암을 분석한 결과,
꽃
가루와 포자, 해양 조류 등 타 물질에 원석조류가 덮여 있었다는 것이다. 지구 온난화 시기도 원석조류의 개체 수가 줄어든 것이 아니며 열심히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고 있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