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대
당신
스페셜
"
너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젖산(lactate)이나 'β-hydroxybutyrate'와 같은 케톤체 등 근육이나 간 등의 신체 장기에서 에
너
지 생성에 관련된 대사체들도 혈액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신경전달이나 유전자 발현 등을 조절하기도 한다. 그 중 최근에 발표된 흥미로운 분자는 ‘클러스터린(clusterin)’이라 불리는 항염증 기능이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이 의미가 큰 건 rRNA를 화학적으로 합성한 게 아니라(
너
무 길어 그럴 수도 없지만) 실제 세포에서처럼 거울상 RNA중합효소가 거울상 DNA(유전자)를 주형으로 해서 거울상 rRNA를 만들어낸 것이다(전사). 거울상 RNA중합효소를 만들어 제대로 작동함을 보여줬다는 게 핵심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수학은 예술'이라고 말할 것 같은 친구, 허준이
2022.07.05
않았다. 어느 국어 시간, 내가 연습장에 되는대로 끄적인 글을 본 준이가 제안했다.
너
는 시를 쓰고 나는 소설을 써서 바꿔 읽자. 중학교 2학년의 세계는 지루하거나 짜릿하거나 둘 중 하나였다. 세상에 없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은 손에 땀을 쥐도록 재미있는 일이었다. 그것도 마음 맞는 친구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부정적 정서는 주의를 빼앗는데 능숙하다
2022.06.25
적당히 활용하지 못할 때가 많다. 감정이 호들갑을 떨면서 "
너
큰일났어"라고 했을 때, 부정적 정서는 원래 시끄럽게 알람을 울리므로 “그래? 다행히 그렇게까지 큰 문제는 아닌 거 같아. 이렇게 저렇게하면 되겠다" 라는 태도로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 ... ...
[논문감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
과학동아
l
2022.06.04
그녀에게 대필가 일을 소개해준 친구가 말했습니다. “이건 부정행위야. 그런데
너
한테 선택권이라는 게 있어? 우리는 돈을 벌어야 하잖아. 먹고살기 위해서.” 주요 의뢰자는 영미권 학생들 음부구아 씨가 유령이 돼 대신 써주는 글은 미국, 영국, 호주 등의 대학 재학생들이 의뢰한 학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은 언제나 아프다
2022.06.04
못한다는 이야기를 들을까봐 노래 교실에 가지 못하는 어르신, 발레를 배워보고 싶지만
너
무 못할까봐 문을 두드리지 못하는 지인 등 아직 발생하지도 않은 '가상의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꼼짝 못하는 일은 생각보다 흔하다. 연구자들의 경우 자신이 온 열정을 바쳐 한 연구를 다른 사람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무기력함 이겨내는 것은 '작은 행동'
2022.05.28
그럼에도 우리가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게을러지는 데에는 첫 걸음을
너
무 원대하게 딛으려 하는 것이 한 몫 한다. 예컨대 완벽하게 해낼 수 있을 것 같지 않으면 시작조차 하지 않는, 그래서 남들보다 더 성과가 적은 완벽주의자들이 그런 경우다. 첫 걸음에 대해 엄격할수록 ... ...
전 세계 인구 절반은 두통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2
“분명한 것은 두통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만연하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스토브
너
교수는 “이번 연구가 중간소득 내지 저소득 국가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정확한 세계 두통 유병률 추정치를 산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한다. 예를 들어 한 딱정벌레에는 카이사르가 죽어가며 마지막으로 외친 “브루투스
너
마저(You too, Brutus!)”를 패러디한 이투 브루투스(Ytu brutus )라는 이름을 받았다. 학명은 흰 가운을 입고 세상사에 관심이 없을 것이라 생각되는 과학자의 이미지가 얼마나 잘못되어 있는지 알려주는 좋은 사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깊은 밤 아늑한 방에서 안심하고 있는 본능은 스마트폰 화면
너
머의 수많은 눈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때로는 정부가 기술 적용을 막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럽은 나라에 따라 자동차 블랙박스 설치를 금지하거나 허용해도 영상을 공개할 수 없는 등 제한이 많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