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스페셜
"
다만
"(으)로 총 2,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깨비 장마 시달리는 기상청, '맹목적 비난' 멈춰야
2024.07.31
없다. 아열대 지역에서 문제 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다만
오랜 세월 온대 기후에 적응한 우리가 새로운 아열대 기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불편을 감수해야 할 뿐이다. 겨울철에 필요한 난방 설비를 여름철에 필요한 냉방 설비로 바꿔야 하고 아열대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것이고 이들과 관련된 또 다른 생명체가 엮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을 것이다.
다만
루카를 뺀 나머지 생물들은 그 뒤 모두 멸종해 루카의 계보만이 살아남은 것이다. 그럼에도 이들의 유전자 가운데 일부가 수평이동으로 루카의 후손에게 넘어가 흔적을 남겼을 가능성은 있다. 네안데르탈인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2024.06.29
관련성이 나타난다는 것이 곧 그 둘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다만
사회적 고통, 특히 '외로움' 같이 고질적인 사회적 고통은 각종 건강 지표를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있어 '받아들여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 다시금 상기시키는 발견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기초학력 미달'(1수준)의 비율은 늘어난 2020년의 상황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다만
영어의 성취도에서는 작년에 비해 약간의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 '이해관계'가 '친한 사이'?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가 가장 심각한 과목은 단연코 '수학'이다. 2023년 평가에서 수학을 포기한 '수포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보는 것처럼 색의 덩어리가 흩어져 있을 뿐 사물 사이의 경계를 파악하지 못했다.
다만
고정된 배경에서 순간 움직이는 물체는 식별할 수 있었다.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관찰한 결과 다행히 시지각이 서서히 나아졌고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두드러졌다. 그러나 정상 시지각 수준에는 결코 도달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한 종(P. rubens)에서 발견한 페니실린 역시 박테리아를 공격하는 곰팡이독소로 볼 수 있다.
다만
박테리아를 공격하는 종류는 항생제 범주에 넣고 곰팡이독소는 사람과 동물(가축)에 독성을 띠는 물질로 한정해 쓰는 경우가 많다. 스타틴(statin)으로 불리는 일련의 분자도 곰팡이가 박테리아를 죽이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같은 모바일 제품은 물론이고 자동차도 나트륨배터리는 쓸 수 없다고 알고 있었다.
다만
무게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그리드 용 충전(에너지 저장) 장비에는 나트륨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이 빛을 발할 것이다. 실제 지난해 중국은 칭다오의 데이터센터에 나트륨배터리를 써서 그리드 규모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양의 입자가 사방으로 흩어지므로 중심에 남은 천체의 질량은 원래 별보다 훨씬 적다.
다만
중성자별과 블랙홀을 나누는 중력붕괴가 일어나는 질량의 경계를 두고 여러 가설이 나왔다. 예를 들어 수학의 관점에서 계산한 슈바르츠실트의 가설에 따르면 블랙홀의 최소 질량은 태양의 1.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산호초로 보는 엘니뇨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심화되더라도 엘니뇨 같은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진 않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다만
연구 대상이 된 시기는 해류 순환을 통해 지구 온도 편차를 줄이는 '해류의 순환벨트'가 약화됐을 때여서 분석 결과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우연한 변이로 조수라발핀에 내성을 지닌 게 된 CRAB가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만
자연계에는 조수라발핀에 해당하는 천연 분자가 없어 반복된 노출로 인한 내성균이 나온 건 아니다. 따라서 조수라발핀을 잘 통제해서 쓰면 CRAB로 인한 죽음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현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