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다수
풍부
스페셜
"
대량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수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유전체 선발(genomic selection)로 나무의 생장과
대량
의 유전자형을 분석해 어린 나무의 유전자형만 보고 잘 클 수 있는 나무를 선발하는 기술이다. 잣나무 차대검정(왼쪽), LiDAR를 활용한 시험목 정밀조사(오른쪽).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 앞으로의 도전과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실험과정을 형질전환이라 한다. 생명과학자가 연구를 하려면 연구대상이 되는 유전자를
대량
확보해야 한다. 대장균 속에 원하는 유전자를 넣어 둘 경우 언제든 대장균을 키우기만 하면 그 유전자는 물론 유전자로부터 정보를 받아 합성되는 단백질까지 얻을 수 있으니 연구용 재료를 확보한 셈이 ... ...
[과기원은 지금] 강정구 KAIST 교수팀, 폐수→암모니아 전환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비료와 플라스틱, 수소 운반체 등의 산업군에 사용되는 원료물질인 암모니아를 싸게
대량
생산하는 원천기술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환경과학’ 지난달 24일자에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권인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산업 폐기물에 들어있는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국제적 수소 공급망 최적화 방법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 산소발생반응용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이 촉매는 안정성이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만큼 친환경 수소생산을 앞당겨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통용된 백금이나 이리듐 등 귀금속 촉매는 가격이 비싸 상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 ...
[기후위기와 산림] 한국 산림의 탄소 흡수량 20년째 '감소중'
2022.11.10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산불로 인해 나무가 불에 타면 그동안 저장했던 탄소가
대량
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처럼 산림은 탄소를 흡수하기도 하고 배출하기도 하기 때문에 흡수는 늘리고 배출은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목재를 수확한 자리에는 다시 어린 나무를 심어 그 나무가 성장하면서 다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유전학이 뭔지는 알고 있었지만 유전공학은 익숙한 용어가 아니었다. 어느 날 갑자기 ‘
대량
생산’을 의미하는 '공'이 삽입된 '유전공학'이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이다. 유전공학과의 신입생 모집 광고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쥐보다 훨씬 큰 쥐를 만들 수 있고, 젖소의 우유 생산량을 크게 ... ...
[과학게시판] 지질연, 탐사연구선 탐해3호 용골거치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마우스 4종의
대량
생산체계를 확립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오는 11월 전국 중·고등학생 대상 '제8회 원자력 창의력 대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대회에서는 학생 2∼3명이 팀을 이뤄 원자력 이슈를 해결하는 ... ...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 표면 일부 날아가는 대폭발 겪어
연합뉴스
l
2022.08.12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태양이 코로나에서 플라스마를
대량
분출하는 CME 현상을 보이지만 광구 일부가 폭발하며 날아가는 것은 관측된 적이 없어 둘은 다른 현상일수도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망원경으로 본격적인 과학 관측을 시작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질을 두고 논쟁을 벌여왔다. 벤튼 교수는 “과거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과
대량
멸종 후 생명체가 어떻게 회복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에 충분한지 확신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프로젝트 리더인 페드로 세르멘노 스페인 해양과학연구소 연구원은 “화석 기록의 ... ...
맨눈으로 체온 측정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30
색 변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저비용,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 기법을 활용했기 때문에 상용화 가능성이 큰 기술”이라며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체온을 육안으로 진단하게 된다면 개인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