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만화"(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2019.12.14
- 치료제 어린 시절에는 여자아이였는데, 사춘기가 지나면서 남자가 된다면 어떨까? 이런 만화 같은 일이 실제로 있었다. 1970년 대 카리브해의 일부 인구 집단에서 구에베도체스(Guevedoces)라 불리던 아이들이 보고되었다. 스페인어로 ‘12살의 성기’라는 뜻이다. 원래는 겉으로 여자아이였는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2019.11.19
- 예감에 다시 합성반응을 했다. 퇴근해 집 소파에 앉은 호프만은 환상적인 이미지가 만화경처럼 펼쳐지는 꿈 같은 상태를 경험한다. 실험을 하다 피부에 묻은 LSD-25가 흡수돼 이런 현상이 일어났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호프만은 다음날 자신을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했다(당시 과학자들은 종종 ... ...
- "여배우 등장 시간 남성의 절반 수준" 시각 AI로 영화 분석해보니동아사이언스 l2019.10.14
- 장르에서 여성 묘사가 편향적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오랜 숙제다. 기존에는 미국의 여성 만화가 앨리슨 벡델이 고안한 ‘벡델 테스트’를 널리 이용했다. 성별 묘사에서 최소한의 균형을 위해서는 이름을 지닌 여성 캐릭터가 두 명 이상 등장하고 이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며, 대화 주제가 남성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2019.08.14
- systems of science are considered. Science, 159(3810), 56-63. -마태효과를 잘 나타내는 풍자만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aek171&logNo=110174188702&parentCategoryNo=13&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1968년 머튼이 출판한 논문 표지. 마태효과는 이 후 과학계를 대표하는 현상으로 각인된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2019.08.03
- 선악을 구분하는 모습을 보인다. 아기들에게 동그라미, 세모, 네모 같은 도형들이 나오는 만화를 보여준다. 도형 하나가 경사진 길을 힘들게 올라가고 있는데 다른 하나는 뒤에서 밀어주고 다른 하나는 위에서 방해하는 상황이다. 이후 아이들에게 똑같은 모양의 도형을 보여주고 마음에 드는 도형을 ... ...
- '리틀포레스트는 허구?' 도시보다 농촌 비만 더 심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9
- 농촌 생활을 주제로 한 영화 ‘리틀포레스트’의 한 장면. 원작은 이가리시 다이스케의 만화다. 사진제공 메가박스 플러스엠 제공 도시의 삶에 지친 청년의 귀농기를 그린 영화 ‘리틀 포레스트’는 농촌에 대한 낭만으로 가득하다. 자연이 주는 건강한 제철 음식을 먹으며 주인공은 몸은 물론 ... ...
- [과학게시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MOU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19.04.09
- 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과학축제, 부천 국제 만화축제 등 주요 행사에서 상호 협력한다. 또한 과학기술 및 콘텐츠 분야에서 인적 네트워크도 교류하는 등 협력을 다양한 방면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9일 대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2019.02.02
- 5) 고독사 Sarah Andersen. (2016). “Adulthood is a myth” 중에서. 아마존닷컴 제공 우연히 본 만화에서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를 새삼 깨달았다. 많은 사람들이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의 차이는 사회적 상황에서 얼마나 큰 즐거움과 에너지를 얻는지에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수의 연구에 의하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2018.09.08
- 고통을 안고 있는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할 거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만화 '습지생태보고서'에 팔이 잘린 사람은 손목이 잘린 사람의 아픔을 모른다는 말처럼, 어떤 경우는 고생을 해 본 사람들이 더 다른 사람들에게 모진 것 같기도 하다. “나는 그것 때문에 너무나 외롭고 ...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6.07.24
-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프리즘 만화경 속을 들여다보는 듯 형형색색의 대칭 패턴이 장식했다. 이 화려한 그래픽의 정체는 단백질 나노구조체다. 2가지 종류의 단위 단백질 60개씩 총 120개가 이십면체를 이루고 있다. 바이러스 유전물질을 캡슐처럼 감싸 전달하는 ‘캡시드 단백질’을 ... ...
이전123456 다음